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

 1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1
 2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2
 3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3
 4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4
 5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5
 6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6
 7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7
 8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8
 9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스웨덴보리(Swedenborg)의 신비주의
차 례
1. 들어가는 말 .
2. 17-18세기 유럽의 시대적 배경
2.1. 계몽주의
2.2. 경건주의
3. 스웨덴보리의 생애
3.1. 과학자로서의 삶
3.2. 신비주의자로서의 삶
4. 스웨덴보리의 사상
4.1. 신관 (그리스도관)
4.2. 영계관
4.2.1. 죽음과 깨어남(부활)
4.3. 속죄관
4.4. 예정론
4.5. 최후의 심판
4.6. 구원과 생활
4.7. 상응론
5. 나가는 말
6. 참고문헌
7. Abstract
스웨덴보리(Emanuel Swedenborg, 1688-1772)의 신비주의
1. 들어가는 말
스웨덴보리(Swedenborg)는 17-18세기 유럽의 기독교 신비주의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신비주의자들(야곱 뵈메, 폭스 등)중의 한 사람이다. 당시의 기독교 신비주의자들은 교회의 교리주의와 예배의식의 형식화 등에 회의를 갖고 내적인 영성을 추구하고 신비적인 체험이나 신의 특별 계시를 통한 구원을 강조했다. 이처럼 스웨덴보리도 자신이 경험한 신비적 체험을 근거로 하여 자신이 계시 받은 것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했다.
그러나 스웨덴보리가 다른 신비주의자들과 다르게 특이한 점은 그는 50대 후반까지 신학을 공부했다거나 교회와 관계된 직업을 갖고 있던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는 스웨덴 과학계에 이름을 날린 과학자요 수학자였다. “두뇌”에 관련된 스웨덴보리의 저서는 현대의 생리학을 내다본 것이며 고생물학상의 저작은 후대의 스웨덴 지질학을 예시했고 칸트나 프랑스의 천문학자였던 라플라스 훨씬 이전에 혹성의 형성에 관한 “성운가설”을 주장했다. Wilson, Colin 지음, 최 현 옮김,『종교와 반항인』, 서울 : 하서, 1994, pp.246-247.
이처럼 스웨덴보리가 남긴 많은 과학적 저술들을 보면 그는 그 시대를 앞선 선구자였고, 천재적인 과학자였다는 데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랬던 그가 50대 후반에 꿈을 꾸고 신비적인 체험을 하게 되면서 그의 인생의 전환을 가져온 계기가 되었고, 그가 체험한 신비를 바탕으로 저술한 많은 서적들을 남김으로써, 후대에까지 그의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스웨덴보리가 경험했다는 신비적인 체험과 그의 사상을 통해 F. Heiler가 그의 책『Prayer』에서 말하는 신비주의 성향(인효론적. 비역사성)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2. 17-18세기 유럽의 시대적 배경
스웨덴보리와 같은 신비주의자들이 등장한 17-18세기의 유럽에서는 계몽주의와 경건주의 운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계몽주의는 당시의 배타적 교파주의와 교리주의에 반대하여 일어난 것으로서, 모든 진리를 인간 안에 있는 “이성”을 통하여 발견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한, 경건주의는 외적인 교회의 형식과 신학체계보다는 영적 종교적 체험을 중요시하여 당시의 정통주의 사상에 반대하였다. 계몽주의와 경건주의는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지만 두 사조 모두 인간 안에 내재 되어 있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당시의 정통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일어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2.1. 계몽주의
계몽주의는 17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18세기 말에 걸쳐 서유럽(프랑스·영국·독일 등)에서 일어났던 사상·문화 운동으로서, 신이 아닌 인간의 “이성”에 의해 의식이 형성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이성(Vernunft)”의 자체 안에는 자연적 빛(lumen naturale)을 갖고 있어서 그것을 통해서 이성은 신, 세계, 인간에 대해서 포괄적이고 근원적인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계몽주의는 인간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인간의 이성을 통하여 정통주의의 배타적 교파주의와 교리주의를 이겨내고자 했다. 특히 영국의 이신론 및 프랑스의 자연주의 그리고 독일의 관념론 등의 매우 유사한 형식으로 등장한 계몽주의적 신학운동은 이제까지 기독교적으로 규정되던 삶의 전 영역을 바꾸어 놓았다. 손규태,『개신교 윤리사상사』,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8, pp.85-87; 이형기,『세계교회사 II』,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1994, pp.255-260.
2.2. 경건주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