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 도자공예

 1  예체능 도자공예-1
 2  예체능 도자공예-2
 3  예체능 도자공예-3
 4  예체능 도자공예-4
 5  예체능 도자공예-5
 6  예체능 도자공예-6
 7  예체능 도자공예-7
 8  예체능 도자공예-8
 9  예체능 도자공예-9
 10  예체능 도자공예-10
 11  예체능 도자공예-11
 12  예체능 도자공예-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예체능 도자공예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머리말
Ⅱ. 본문
1. 고려청자의 변천
2. 초기청자
(1) 햇무리굽계 청자
(2) 녹청자
3. 청자의 발전
(1) 11세기 전반
(2) 11세기 후반- 12세기초
4. 고려순청자의 절정기
5. 청자상감의 전성기
(1) 청자상감의 발생
(2) 문양의 표현방법
(3) 문양의 구성양식
(4) 청자상감 문양의 유형과 상징성
6. 청자의 쇠퇴
7. 상감청자기
Ⅲ.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우리나라는 공예의 나라라고 할 만큼 일찍부터 여러 가지 공예기술이 발달하였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고려청자, 조선 분청사기와 백자를 만든 도자공예 기술은 가히 세계적이라고 할 만큼 빼어났다. 왕실과 같은 특정 계층의 특수한 목적을 위해 제작된 도자기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들이 일상적인 생활용구로 제작한 도자기까지 지금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는 도자공예 문화유산은 한국인의 미의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자공예는 통일신라 말 토기에서 청자로 발전하는 전환기를 맞게 된다. 신라시대에는 금속기와 토기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왕족과 귀족들의 최고의 공예품은 금으로 만든 여러 장신구였다. 이에 비해 고려시대에는 청자와 백자 등의 도자기가 만들어져서 왕실과 개경을 중심으로 살던 중앙 귀족이 애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청자와 백자 같은 자기가 최초로 만들어진 시기는 신라 말기인 9세기 무렵이다. 이 시기는 문성왕(839~857)이후 왕위가 불안정하여 정치적사회적 혼란이 거듭된 때였다. 또 중앙 정부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지방 호족들이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무역에서도 왕실이 중심이 된 조공무역보다는 강력한 호족세력이었던 장보고에 의한 해상활동과 사무역이 성행하였다. 장보고의 해상 근거지였던 청해진은 오늘날의 완도인데, 이 곳에서는 장보고 활동 당시인 9세기의 청자 파편들이 발굴되었다. 이 청자 파편들은 9세기의 중국 절강성 청자 양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중국에서 청해진으로 수입되었다고 추정된다. 이 같은 사실로 인해 청해진이 사회사, 정치사 뿐 아니라 도자사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반도에 중국 청자와 그 제작기술이 유입되는 데에 청해진이 교역의 중심지가 되었고, 가까이 있는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이 고려청자의 최대 제작지로 자리 잡기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중국 도자 양식을 따른 청자는 왕실이나 귀족들에 의해 애용되었다.
고요한 연못을 들여다보는 듯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비색 청자, 세계 도자기 역사상 최초로 상감 기법을 도자기에 응용하여 만든 상감청자, 다소 투박하지만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저형미를 보여주는 분청사기, 순백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표현해 낸 백자등 우리의 도자공예 문화유산은 한국인의 미감을 그대로 표현해 내고 있다. 여기서는 고려시대의 청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리나라의 고려청자는 예로부터 아름다운 색과 정교한 문양이 아름다워 세상 사람들이 보물처럼 여겨왔다. 고려청자는 고려의 역사와 같은 길을 걸어 왔고 고려의 역사에 맞추어 설명해도 무리가 없을 정도이다. 그만큼 고려인의 생활과 밀접했고 고려인의 얼이 들어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청자가 고려시대에 어떻게 발달했는지 이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청자의 바탕에 어떠한 문양이 시문되었으며 어떤 구성양식으로 표현되었는지를 밝혀내는 일은 도자사 연구에 있어 중요하기 때문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Ⅱ. 본 문
1. 고려청자의 변천
9세기말 전후에 한국의 는 형질 모두 고분 문화적 성격에서 명확히 탈피하였다고 할 수 있다. 즉, ① 7세기경에 이루어져 있던 삼국시대 시유기술에서 싹튼 기술의 축적 ② 고화도 환원염으로 구워낸 신라 토기의 번조기술의 진보에 따라서 깨달은 자연회유의 경험 ③ 통일신라시대의 연유계 녹유기법의 다양한 개발과 육조청자당백자당청자등의 유전에서 받은 자극 ④ 의기적인 요소, 비 기능적인 요소를 포함했던 고대양식에서 용도, 기능이 세분화된 현실적인 기로 변화. 이런 사실들로부터 청자시대가 10세기 초, 경우에 따라서는 9세기말에 시작되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시기의 발전 유물로서는 울릉도 천재동 고분에서 출토된 유형의 회유도가 그 선구적 예이고 10세기 전반기에는 산동반도를 포함한 북부중국으로부터 황해를 건너온 산화염계 또는 중성염계의 북방계 청자기술과 남부중국 항주만 연안의 오대송초의 월주염계 환원염 청자기법이 전파됨에 따라 일종의 청자와 백자가 존재했던 것으로 믿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