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

 1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1
 2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2
 3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3
 4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4
 5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5
 6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6
 7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7
 8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동맥경화증 급성 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대상자 간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간호학 4-1-1 package part.1에서 AAA(abdominal aorta aneurysm, 복부 대동맥류)로 수술을 하기 위해 내원한 김복동(가명)(F/65)님을 만나게 되었다. 김복동님은 AAA를 2013년 5월에 발견되었으나 F/U 중 5.7cm 으로 size growth하여 수술을 할 예정이다.
이에 우리는 김복동님을 간호하기 위해 AAA 뿐 아니라 대표적인 동맥질환에 대해 알아보고자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Ⅱ. 본론
1. 동맥경화증 (arteriosclerosis)
동맥이 딱딱해진 상태로 동맥질환에서 가장 흔한 상태
소동맥과 세동맥 내벽이 두꺼워지거나, 특징적으로 혈관 근육의 섬유화가 오는 공범위한 과정
근육세포 및 교질 섬유가 혈관 내벽으로 이동

내벽이 두꺼워지고 딱딱해짐

점차 동맥혈관을 좁힘
혈관 내벽의 지방,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대사의 변화가 동맥경화증 촉진
2. 급성 동맥폐색
정의
말초동맥이 모두 혹은 부분적으로 갑자기 폐쇄되어 사지의 혈액공급이 차단되고 심한 통증이나 괴사를 일으킴
원인
하지에 약 90% 발생
혈관의 외상, 혈전, 색전 등에 의해 흔히 발생
급성 동맥혈전증
(arterial thrombosis)
죽상경화증이 있는 경우 흔히 나타남
혈관을 폐색시킴으로써 발생
죽상경화증이 진행된 상태일 때 동맥류로 발전하기도 함
→ 혈관의 손상이 더 진전됨
수술에 동맥재생 절차가 포함됨 (☜ 다리의 재혈관화 위해)
동맥 색전증
(arterial embolism)
심장이나 혈관 내에 이물질이나 응혈된 혈괴가 혈전 형성

혈전의 일부가 혈류를 통해 어떤 동맥에 폐색을 일으킴
급성 동맥폐색
심방세동, 심근경색증 후, 인공판막수술, 류마티스성 심질환 등의 결과로 생긴 혈전이 떨어져 나와 주로 발생함
죽종성 색전
(arteromatous emboli)
원인 : 심장질환, 복부 대동맥류, 말초 동맥류, 당뇨병 등
하지에 발생 多, 약 15%는 팔에 발생
증상과 징후
급격한 폐색 → 심한 통증, BUT! 동맥폐색이라는 생각을 못하고 넘어갈 수 있음
조기 징후 : 냉감, 사지 무감각증, 근육 허약감
동맥박동 : 폐색 원위부에서 잡혀지지 않음 or 약하게 잡힘
말초동맥의 평균 동맥압 및 맥압 ↓, PO₂ ↓

통증(Pain) : 강도가 급격히 증가하다가 갑자기 체중을 지지하기가 어렵게 됨
감각 이상(Paresthesia)과 위치 감각 상실 : 핀으로 찌르거나 누르는 느낌을 받을 수 없으며 발가락을 굽히거나 젖혀도 알 수가 없게 됨
냉기(Poikilothermia)
마비(Paralysis)
창백(Pallor)
- 표피정맥이 비워지고 모세관이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
- 창백은 점차 점이 생기고 청색증이 오며 사체의 찬 다리 같이 될 수 있음
맥박이 없어짐(Pulselessness)
- 근육과사는 폐색 후 2~3 시간 후부터 시작될 수 있음
- 근육과 관절의 강직이 함께 온 완전한 마비는 돌이킬 수 없는 손상임
- 전신 패혈증 예방 위해 다리 절단할 수 있음
치료와 간호
수술
- 혈전이나 색전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 시행 여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
⇒ 가능한 빨리 시행해야 함
- 색전 제거술(embolectomy)
수술 전
- 환자는 편안하고 따듯한 방에 누워있게 함
- 다리에 압박이나 외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함
- 체위 : 다리가 약간 낮은 자세
내과적 치료 혹은 수술이 연기되는 경우
- 헤파린을 8시간 마다 2~7일 동안 투여함 (계속적인 IV 보다는 한 번의 IV로 시행함)
→ 그 후 경구용 약물로 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