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

 1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1
 2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2
 3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3
 4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4
 5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5
 6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6
 7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 3가지
1. 고셔병
고셔병은 지방질 대사 이상을 야기하는 상염색체성 열성 유전병으로 세 유형이 있다.
I형은 특히 Ashkenazi Jews(독일 , 폴란드 거주 유태인) 집단에서 그 빈도가 다른 집단에 비해 30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Ashkenazi Jews 집단에서의 발생율은 2500명당 한 명꼴이다. 고셔병 중 가장 흔한 유형은 I형으로, 간-비장 비대가 나타나며 중추신경계에는 이상이 없다. 임상적 징후는 유아기 때 처음 나타나며, 신체 말단부의 일시적인 통증과 비장 기능 항진으로 인한 혈소판감소증이 일어나 쉽게 타박상이 생기고 심각한 출혈이 일어날 수 있으며 장기 비대가 일어난다. 성인 중 비장 비대가 관찰되지 않은 예도 있으며, I형 환자들의 수명은 단축되지 않으나 여러 병적 증상이 관찰된다.
II형 고셔병은 생후 수개월부터 증상이 나타난다. 그중 간-비장 비대와 신경 기능 장애로 인한 정신적, 운동적 퇴행이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다. Fredrick and Sloan(1972)이 67명의 환자를 관찰한 결과 평균 수명이 9개월이었다.
III형 환자는 어린이 시기에 간-비장 비대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유소년기나 성인기에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 신경학적 증상에는 발작, 과잉긴장, 사시, 조정불능, 정신능력 쇠퇴, 보행 장애 등이 포함된다.
세 유형 모두 지방이 축적되고 팽창된 조직세포(고셔 세포)가 발견된다. 또 당지질인 glucocerebroside가 모든 세포와 조직에 축적된다. 혈장 내에도 또한 glucocerebroside 증가하는데 특히 I형과 III형에서 두드러진다. 고셔병 세 유형 모두 근본적인 원인은 glucocerebrosidase 효소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말초혈액으로부터의 백혈구의 glucocerebrosidase의 분석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배양된 피부 섬유아세포의 분석을 통해 산전 및 출생 후 진단이 가능하다. 이 효소의 분석으로 이형접합자의 확인도 쉽게 이루어진다. 단, 이형접합자의 확인을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분석이 요구되어진다.
고셔병의 치료
비장 이식과 신장 이식을 통한 치료법이 시도되었으나 성공적이지 못했다. Brady 등(1974)은 정제된 glucocerebrosidase를 I형과 III형의 두 환자에게 정맥 투여한 결과 간과 적혈구 내 glucocerebroside의 양이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정맥 투여에 의한 감소 효과는 투여 후 12개월 및 16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방법의 실용화는 되지 않았다.
2. Tay-Sachs 병
이 병의 이환자는 생후 3-6개월 사이에 운동능력의 약화가 일어나기 시작한다. 아기는 앉고, 기어 다닐 수 있으나 걷지는 못한다. 운동능력 약화에 이어 신경계의 퇴행이 일어나며 한 살 무렵이면 급격히 진행된다. 18개월 무렵이면 귀와 눈이 멀고 발작, 경련 등이 일어난다. 예외없는 이런 퇴행은 결국 제뇌경직(decebrate rigidity)으로 이어지며 결국 두 살에서 다섯 살 사이에 기관지-폐렴으로 죽게 된다.
병의 원인은 중추신경, 자율신경, 항문점액신경원에서의 지질(GM2 ganglioside) 축적으로 나타난다. Ashkenazi Jews 집단에서 특히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데, 유대인이 아닌 집단의 어린이에서는 1/360,000로 나타나는데 반해 유태인 어린이에서는 1/3,600의 빈도로 나타난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추정해 보면 미국내 Ashkenazi Jews의 1/30 이 Tay-Sachs 병의 보인자이며, 비유대인에서의 보인자는 300명당 1명꼴이다. 이 병의 환자는 hexosaminidase A 효소가 결핍되어 나타나는데, 따라서 sphingolipid의 대사 장애로 인한 GM2 ganglioside의 축적이 일어나게 된다. 이형접합자는 혈청, 백혈구, 배양된 섬유아세포의 hexosaminidase A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확인이 가능하다. 혈청 검사로 보인자의 96% 정도의 탐지가 가능하며 백혈구 검사로는 99% 이상 탐지 가능하다. 심근경색, 간염, 췌장염 등의 질병에 걸리거나 임신 중인 여성, 그리고 경구피임약을 복용중인 여성의 경우 hexosaminidase의 활성이 이형접합자 수준으로 떨어질 수 있으므로 백혈구 검사가 권장된다. 임신 중인 태아의 산전 진단이 가능해짐으로써 위험인자를 가진 사람들의 산전진단이 일반화되게 되었다. Kaback(1977)의 조사에 의하면 위험 요인이 있는 461 태아의 산전 진단에서 118명의 Tay-Sachs 병 이환아를 확인하였다.
3. 겸형적혈구 빈혈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