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

 1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1
 2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2
 3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3
 4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4
 5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5
 6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6
 7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7
 8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8
 9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문학] 러시아의 대문호 뿌쉬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언
Ⅱ. 본 문
1. 뿌쉬낀의 생애
2. 뿌쉬낀의 대표작들
(1) 운문 소설: 예브게니 오네긴
(2) 단편 소설 모음: 벨낀 이야기
(3) 장편 소설: 대위의 딸
(4) 서사시: 청동기마상
(5) 희곡: 보리스 고두노프
(6) 뿌쉬낀의 서정시에 대하여
3. 뿌쉬낀 작품이 끼친 영향들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언

러시아가 사랑하고 자랑하는 천재시인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뿌쉬낀. 그는 38세의 젊은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했지만 서정시, 서사시, 희곡, 소설, 기행문 등 수많은 작품들을 썼으며, 그의 작품들은 최고의 작품이라 평가되어서, 그의 작품은 오늘날까지도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의 모범으로 간주된다. 그리하여 ‘러시아 문학의 아버지’, ‘국민 시인’, ‘천재 작가’, ‘민족의 혼’ 등 화려한 수식어가 그의 이름 앞에 수식되었다. 전문가가 아닌 한국인들은 왜 그의 이름 앞에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지 잘 모른다. 그러나 솔직히 ‘도스또예프스끼’ 1821~1881년, 모스크바 출생, 19세기 러시아 대표적 작가, 대표작- , , 등.
와 ‘톨스토이’ 1828~1920년, 툴라 시 근처 야스나야 폴랴나 출생, 19세기 러시아 대표적 작가, 문학비평가,
대표작- 등.
에 대하여 비전문가인 일반인들도 잘 안다. 그래서 우리는 그의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그의 작품이 끼친 영향에 대하여 심도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 문

1. 뿌쉬낀의 생애

뿌쉬낀은 1799년 5월 26일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부친은 퇴역장교로 문필활동을 했으며, 육백년 전통의 유서 깊은 명문귀족의 후손이었고, 그의 모친은 뾰뜨르 대제 1672~1725년, 러시아 로마노프가의 4대 황제, 러시아의 절대주의를 확립시킴, 부국강병을 위하여 러시아를 서유럽화 했음.
의 흑인 총신 한니발의 증손녀로 아프리카인의 피를 이어받았다. 12살 되던 1811년, 그는 짜르스꼬예 셀로(지금의 뿌쉬낀 시)에 있는 귀족 자제 교육기관인 ‘리쩨이’에 입학했다. 이곳에 재학하며 시를 쓰기 시작하여 약 130여 편의 시를 창작했다. 1814년, ‘유럽통보’에 그의 첫 번째 시 작품이 발표되었고, 1815년 어느 시모임에서 낭송한 ‘짜르스꼬예 셀로의 추억’은 그 자리에 참석했던 ‘제르자빈 까잔 출생, 1743~1816년, 뿌쉬낀 이전의 최고의 고전주의 시인, 대표작- , 등.
’으로부터 격찬을 받았다. 박형규 외 저, 『러시아 문학 개론』, 제3문학사, 1996, 206~207쪽.

학교를 졸업한 1817년부터 그는 약3년 간 외무성에 근무한다. 그러나 하는 일이라곤 거의 없었다. 대신 그는 문학 활동에 집중하여, ‘아르자마스’, ‘푸른 램프’등의 문학 모임에서 활동하면서 정치적인 시를 발표하고 제까브리스뜨 알렉산드르 1세 시대에 당시의 진보적인 러시아 청년 장교들과 중류 지주, 귀족들이 조직한 혁명적인 성격의 비밀 단체.
당원들과 긴밀한 유대를 갖는다. 특히 ‘차다예프’ 모스크바 출생, 1794~1856년, 러시아 철학가, 주요저서- , .
와는 우정을 통해 강하게 결속되었다. 그 사이에도 ‘루슬란 류드밀란’라는 6편으로 구성된 낭만적인 서사시를 써서 1820년 봄에 발표하였다. 이 시는 젊은 세대를 열광시켰지만 구세대로부터는 격렬한 비난을 받았다. 이 글을 읽은 ‘쥬꼬프스끼’ 1783~1852년, 러시아 전기 낭만파 대표 시인, 대표작- , .
가 ‘패배한 스승이 승리한 학생에게’라는 글이 생겨진 초상화를 그에게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