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1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1
 2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2
 3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3
 4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4
 5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5
 6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6
 7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7
 8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간의 본성,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아리스토텔레스와 프로이트의 이론을 중심으로-
Ⅰ.서론
Ⅱ.본론
1. 의문의 시작
2. 핵심개념의 재고
⑴ 인간의 본성 : 인간의 완성적 측면
⑵ 행복 : ‘Eudaimonia’적 개념
⑶ 자기기만
3. 자기기만적 행복의 추구
Ⅲ.결론
Ⅰ. 서론
인간은 무엇이며,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해답은 없지만 인간이 살아가면서 하는 끊임없는 질문이며, 인간의 삶에서 가장 의미 있는 질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지금껏 이러한 질문에 다양한 분야(생물학, 사회학, 경제학, 인류학 등)에서 다양한 해답을 제시하며 인간의 본성을 규정짓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불가능한 일이요 항상 옳은 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이 느끼는 감정, 어쩌면 그 이상, 이하일 수 있는 행복은 무엇인가? 단순히 좋은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행복인가? 아닐 것이다. 행복은 단순히 인간이 느끼는 희노애락(喜怒哀樂)의 한 종류로 치부하기에는 인간의 삶에 끼치는 영향이 상당히 크다. 이러한 이유로 나는 이 두 가지 개념의 연결고리를 찾고자 한다. 인간의 본성과 행복, 이 두 가지 개념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인간의 본성을 파악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써 이 두 개념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의문의 시작
왜 인간의 본성과 행복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글의 서두에서 밝히고자 한다. 얼마 전 불굴의 복서 故 최요삼 선수의 일 부록 참조(p.8)
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과연 그는 행복했을까? 의문의 시작이다. 복서라는 직업이 그에게 주는 경제적 보상과 명예는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는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게다가 35세의 나이에도 결혼을 하지 못하여 가정을 꾸리지도 못했다. 이러한 외형적 조건 이외에도 그는 항상 맞는 것을 두려워했다는 심리적 상황까지 그의 일기를 통해 고백하였다.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과연 故 최요삼 선수의 삶은 행복하였을까? 누구보다 기구한 삶을 살았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무엇이 그를 다시 링으로 불러들였는가? 은퇴 후 35세의 나이로 다시 글러브를 끼게 한 것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의문에 해답을 구하고자 인간의 본성과 행복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2. 핵심개념의 재고(再考)
⑴ 인간의 본성 : 인간의 완성적 측면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론은 다양하다. 어떤 이론이 가장 옳다고 할 수는 없다. 나는 여기서 플라톤의 이론에서 확장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에 공감한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하는 ‘인간의 완성’적 측면에서 인간의 본성을 탐구 하고자 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본성에서 오히려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즉 인간의 상태 속에서 어떤 근본적인 잘못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치료법을 처방하는(다른 많은 종교에서 그렇듯이)것 대신,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에 있어 어떤 목푠 목적, 혹은 의미를 설명하고 나서, 어떻게 하면 그것을 실천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그러한 이상을 따라잡지 못하는 실패를 피하거나 다스릴 수 있는 지를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다른 종교에서는(그리고 플라톤 역시 어느 정도까지는) 다른 세상으로의 구원이나 해법을 제시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완성에 관하여 현세적인 설명 이론적 바탕을 선택함에 있어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이다. 플라톤의 이원론적 시각을 을 바탕으로 한 인간의 육체와 본성의 이분법적 시각에 동의 하지 못하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