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

 1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
 2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2
 3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3
 4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4
 5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5
 6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6
 7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7
 8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8
 9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9
 10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0
 11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1
 12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2
 13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3
 14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4
 15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5
 16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환경정책] 비무장지대(DMZ) 생태계환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 연구의 고찰목적
1-(2) : 비무장지대의 개념
 형성배경
 자연생태학적 가치
1-(3) : 비무장지대의 형성배경과 자연생태학적 가치
2. 본론
2-(1)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의 환경
2-(2)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의 구성
 생태계의 구역 구분
 생태계 구역별 구성 현황
가. 판문점 부근 생태현황
나. 사천 및 주변습지 생태현황
다. 대성동 어룡 저수지 생태현황
라. 군내면 점원리 생태현황
마. 장단면 장단반도 생태현황
바. 장단면 노상리 생태현황
2-(3)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의 파괴 유형
 농지의 계속된 확장
가. 습지의 농지로의 변환
나. 농약, 화학비료에 의한 수질오염
 반 환경적 정책
 대규모 도로의 개설
가. 공기오염
나. 야생동물이동의 장애
다. 야간 불빛에 의한 야행성동물의 활동 방해
 군사훈련
가. 대부분의 군사시설이 산림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산림생태계가 크게 위 협받고 있음
나. 군사상 목적으로 산불을 일으킴
2-(4)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파괴 관련 기사
3. 결론
3-(1)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
3-(2) : 비무장지대의 생태계 보전대책과 방안
 생태계 보전에 있어 나아가야할 방향
 비무장지대 자연생태계 보호를 위한 대책방안
가. 생태적 가치와 지역특성에 따른 권역별 구분 ․ 관리
나. 접경생물권 보전지역 지정 추진
다. 남북 협력사업을 통한 생태계 보전
라. 개발과 보전이 조화된 지속가능한 개발 추진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고찰 목적
한국전쟁 이후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이 50년 동안 일반인의 출입과 통제가 되면서 야생 동물과 식물이 서식하는 세계적인 생태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파주시를 비롯한 서부지역을 중심으로 개발압력과 민통선 지역의 영농 활동 등으로 인한 인간의 생산 활동이 증가되면서 이 지역의 생태계 변화와 훼손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생태계의 파괴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생태보전대책 추진이 미흡한 이유는 접경지역은 중요한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정확한 생태조사가 불가능하고 지역현황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어려워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계획 수립에 많은 제한을 받기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우리 9조는 생태계의 위협요인 등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접경지역의 생태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대책과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2) 비무장지대의 개념
비무장 지대(DMZ)란 휴정협정이후 직접적인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도록 한 완충지대를 말한다. 이곳은 군대의 주둔이나 무기의 배치, 군사시설의 설치가 금지되며 일단 비무장지대의 설정이 결정되면 이미 설치된 것을 철수 또는 철거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비무장지대는 1953년 7월 27일 ‘한국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 (휴전 협정)에 의해서, 서해안의 임진강 하구에서 동해안의 강원도 고성에 이르는 총길이 248km의 군사분계선(휴전선)을 설정하고,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각각 2km를 지정하여 4km의 공간을 두고 군대의 주둔이나 무기의 배치를 금지하도록 한 구역을 말한다.
법적인 측면에서 볼 때 비무장화 및 비무장지대는 본질적으로 국제법상의 제도이다. 따라서 비무장지대는 국제법에 의해 설정되는 지역이며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구도 역시 국제법에 기초하여 창설되는 제도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정치 군사적으로 볼 때 현실적인 전투행위를 중지하기 위해 적대 쌍방 군대 간에 설치되는 비무장지대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무장화는 군비통제 내지 위기관
리의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
참고문헌
- 환경부, 2002. 4. 26 DMZ 접경지역 생태계보전대책
- 심포지엄 자료집, 생명과 평화의 땅 “DMZ"
- 네이버 검색 www.naver.com
- Gangwon Cyber DMZ www.KoreaDMZ.co.kr
- http;//www.worlddmz.com
- 정보화 마을 중앙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