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

 1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1
 2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2
 3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3
 4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4
 5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5
 6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6
 7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7
 8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8
 9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9
 10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10
 11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11
 12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12
 13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시가지도론] 악장가사,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의 편찬과정과 내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서론
『고려사』「악지」를 비롯하여 『악학궤범』,『시용향악보』,『악장가사』등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 성격은 모두 궁중의 음악을 정리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에 실려 있는 음악 및 가사는 그것이 어디에서 기원했든, 또 어느 시대에 기원했든 모두 궁중에서 연주되고 가창되던 것만을 싣고 있다는 점에서 확연한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아래에서 이들 각각의 편찬 체제와 내용,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악학궤범
『악학궤범』은 성종24년 8월 상순에 柳子光, 成俔, 申末平, 朴, 金福根 등이 편찬한 음악의 이론 서적이다.
1. 편찬
『악학궤범』의 편찬 경위를 알 수 있는 자료가 적다. 실록에서조차 언급이 없어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成俔의 樂學軌範序가 유일한 자료인 셈이다. 따라서 序에 기록된 다음 두가지 사실만 알 수 있을 뿐, 더 이상 자세한 내막은 거의 알려지지 않고 있다.
(1) 掌樂院의 提調 柳子光· 成俔과 主簿 申末平, 그리고 典樂 朴, 金福根 등에 의해 편찬되었다는 점.
(2) 成宗 24년 (1493) 8월 상순에 완성되었다는 점.
『악학궤범』의 편찬은 성현만 아니라 신말평, 박곤, 김복근 모두가 함께 참여한 공동의 작업으로 보는 것이 맞다. 다만 성현이 자리하고 있었던 편찬자로서의 위치만은 다른 이들의 그것과는 달랐다. “사람들이 근대 知音의 일인자라 칭한다.”는 김안국의 증언과 같이, 성현은 특히 예악에 밝고 거문고 연주에도 일가견을 보인 문신이었다. 뿐만 아니라 일찍이 성종 11년(1475) 장악원 첨정으로 임명된 이래 제조로서 이의 편찬 작업을 마무리하기까지, 전후 20여년 동안이나 장악원 겸관으로 있었다. 따라서 지위와 경험, 이론과 실제 등 모든 면에서 어느 누구도 따를 수 없는 음악적 자질과 조건을 갖추고 있었던 그인 만큼, 『악학궤범』의 편찬이 전적으로 그의 주관 아래 이루어졌으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곧 신말평, 박곤, 김복근이 각각의 업무분장에 따른 편찬 작업의 실무를 수행했다면, 성현은 편찬사업을 총괄적으로 기획 주관했다고 할 수 있다.
『악학궤범』의 편찬은 『경국대전』으로 국가의 법제를 정리하여 체계를 세운 뒤를 이어서, 악학의 정리를 통하여 예악을 일으켜 태평성대에 이르는 기틀을 마련하려 한 것이 곧 그 궁극적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악학궤범』은 『경국대전』이 그러하듯 재편성의 차원이라기보다는 정리의 차원에서, 어디까지나 기존의 악학을 정비하고 표준화하려는 데에 기본방향이 있다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