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

 1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1
 2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2
 3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3
 4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4
 5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5
 6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6
 7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7
 8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8
 9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9
 10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10
 11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11
 12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시가운율론]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과 개작 양상
- 목 차 -
1. 서론
2. 속요의 궁중악 도입과 개작
3. 조선조 예악관과 속요에 대한 입장
4. 속요의 개작 양상
5. 결론
1. 서론
고려속요(이하 속요)는 고려시대에 민간에서 불리워지던 노래가 궁중에 정착하여 조선조까지 지속적으로 연행되었던 갈래이다. 이렇듯 여러 계층들에 의해 향유되었고, 오랜 시기에 거쳐 연행되었기 때문에 그 성격이 복합적인 특징을 가진다. 또한 오랜 시기를 유행하였던 갈래이기 때문에 시대에 따른 우리 민족의 음악에 대한 입장에 대한 변화를 알 수 있기 때문에 국문학사 상에서도 매우 중요한 갈래이다.
이렇듯 속요에 대한 갈래적 특수성과 중요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들은 주로 속요를 민요적 성격의 노래로 규정 양주동, 이병기, 이능우, 조윤제 등의 학자들이 이러한 견해에 따라 논의를 전개하였다.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입장에 따라 논의를 전개할 경우, 그 발생적 특징에 대하여서는 깊이 있는 접근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나, 이후 궁중으로 유입되어 鄕樂으로 연행된 이후의 특징에 대해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난점이 존재한다. 특히 조선조의 경우, 속요가 이미 民謠로써 불리워졌다기 보다는 궁중에서 俗歌로써 연행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를 복합적인 갈래로 파악하여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1980년대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 최동원, 「고려가요의 향유층과 그 성격」, 『고려가요의 연구』, 새문사, 1982
김명호, 「고려가요의 전반적 성격」,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82
이후로 대체적으로 이러한 俗歌로써의 성격에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특히 궁중악으로 도입된 이후 조선조로 이어지며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 김쾌덕, 「조선 건국 초 고려 속가 수용 상황과 변개」, 『한국문학논총』, 제38집, 2004
김문태, 「고려속요의 조선조 수용양상」, 『한국시가연구』 제5집, 1999
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2
이외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