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

 1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1
 2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2
 3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3
 4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4
 5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5
 6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6
 7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7
 8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8
 9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9
 10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10
 11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11
 12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12
 13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려조 소악부 -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려조 소악부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菴) 민사평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본론
1. 소악부란 무엇인가
2. 익재(益齎) 이제현과 급암(及庵) 민사평의 소악부에 대하여
- 익재 이제현의 소악부
- 급암 민사평의 소악부
3. 익재 소악부와 급암 소악부의 양식적 특징
4. 소악부가 갖는 국문학사적 의의
Ⅲ. 결론
Ⅰ. 서론
고려 후기는 한국악부시의 활발한 형성과정에 해당한다. 그 중에서 소악부(小樂府)는 고려 말 익재 이제현과 급암 민사평에 의해 성립된 우리 문학의 범주로서 한문학에 있어서 그 하위 갈래인 악부문학들 중 한 형태를 지칭하는 문학 양식이다.
이번 시간에는 소악부라는 문학양식과 작품, 특히 이재현과 민사평의 소악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 이것이 우리의 문학사에서 갖는 의미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소악부란 무엇인가
1) 소악부의 명칭 및 정의
악부(樂府)는 원래 음악을 맡아 다스리던 중국 관청의 이름이다. 무제(武帝) 이전 한나라 초기 시대에도 음악을 관장하는 태학(太樂)이라는 관서가 있었으나 조정의 의식에 쓰이는 음악을 제작하고 연주하는데 그쳤다. 한나라 무제(武帝)에 와서 그는 악부를 설치하여 이연년(李延年)을 악부의 우두머리인 협률도위(協律都尉)로 임명하였다. 그리고 각 지방의 민요를 채집하게 하여 정치의 잘잘못을 살폈다. 지방의 민가는 조정의 아악(雅樂) 뿐만 아니라, 또한 조정과 귀족 대가의 집안에까지 속악(俗樂)을 크게 유행시키는데 영향을 끼쳤다. 민요의 영향을 받아 음탕한 노래들이 다투어 절리 불려지게 되자 애제(哀帝)는 속악이 사회의 기강을 문란케 한 것에 통감하여 악부를 없애고 다시 태악을 만든다. 후대에 와선 이 악부에서 채록한 시가를 악부시가(樂府詩歌) 또는 악부라고 부르게 되었다.
우리 나라엔 악부체 시가 별로 없었다. 이제현의 소악부가 처음인데 ‘소(小)’자는 절구시(絶句詩)를 뜻한다. 그가 지은 소악부 11편은 당시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7언절구의 한시로 옮겨 놓은 것이다. 모두 《익재난고》권 4에 실려 전하는데, 앞의 9편은 라는 제목으로 전하고, 뒤의 2편은 민사평(閔思平)에게도 소악부를 지어 보라고 권하는 의미에서 2편을 다시 지었다는 뜻이다. 앞의 9편은 대부분 《고려사(高麗史)》에 그 제목과 설명이 전하는 노래들이고, 뒤의 2편은 제주도 민요이다.
한나라가 정권을 안정시킨 뒤 대외 발전과 아울러 서북지방을 방비키 위한 행역(行役)에 그치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악부의 내용을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전쟁의 참혹·전란 속에서 이산의 아픔·절박한 향수 등 전쟁을 내용으로 한 전쟁류(戰爭類)의 작품, ②전쟁과 전제치하에서의 축첩·기녀·이산·주검·가난·질병·고아 등 암담한 사회상을 내용으로 한 사회류(社會類)의 작품, ③ 전제치하에서 상층관료들의 향락과 박해를 비판하거나 폭로한 정치류(政治류類)의 작품, ④ 봉건제도 밑에서 속박 당하는 애정의 비극이나 사랑의 기쁨을 노래한 애정류(愛情류類)의 작품, ⑤ 주검의 공포나 생명의 무상을 강력하게 느껴 퇴폐적이고 비관적인 일면과 유선적이고 신비적인 것을 염원하는 유선류(游仙類)의 작품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소악부의 창작배경
고려 후기에는 문학이론에 대한 관심과 함께 개인의 정서와 삶의 문제를 주제로 삼으려는 새로운 창작 기풍이 형성 발전되어 갔다. 이는 곧 고려 후기 문학 담당자들이 귀족 관료계층에서 문학 창작을 전문으로 하는 문인들로 대체되어 갔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인들이 등장하게 되자 한문학 양식의 수용 양상도 새로운 변화를 보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