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

 1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
 2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2
 3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3
 4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4
 5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5
 6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6
 7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7
 8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8
 9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9
 10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0
 11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1
 12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2
 13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3
 14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4
 15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5
 16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6
 17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7
 18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가작품론]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산 윤선도의〈어부사시사〉의미와 문학사적 의의
목 차
1. 서론
2. 고산의 생애와〈어부사시사〉의 창작동기
1) 고산의 생애와 특징
(1) 양란과 붕당의 격변기
(2) 생애의 주요 국면들
2)〈어부사시사〉의 창작 동기
3.〈어부사시사〉의 내적과 의적인 의미
1)〈어부사시사〉의 내적인 의미
(1) 계절과 어느 하루 동안의 어부생활 및 풍경
(2) 강호미학의 정점
2) 〈어부사시사〉의 외적인 의미
(1)〈어부사시사〉의 후렴
(2) 균형과 통일의 세계
4. 고산과〈어부사시사〉의 문학사적 의의
5. 결론
1. 서론
윤선도(尹善道)는 자를 약이(約而), 호를 고산(孤山)이라 하고 해남(海南) 사람이다. 윤성근, 『윤선도작품집』, 형설출판사, 1982, 147면.
고산 윤선도는 11세 때에는 산사(山寺)에 들어가 글을 읽었다. 그리하여 14세(1600, 선조 33)때부터는 한시 작품을 남기기 시작하였다. 〈자국도회주〉(自國島廻舟), 〈한거춘일즉사〉(閑居春日卽事), 〈견회요〉, 〈산중신곡〉, 〈산중속신곡〉, 〈어부사시사〉등과 같은 그의 빼어난 작품들이 있다. 정운채, 『윤선도 연군지정과 이념의 시세계』, 건국대학교출판부, 1995, 11-12면.
본고에서는 이 중에서 〈어부사시사〉의 의미와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한다.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대한 연구는 도남 조윤제의 소개와 평가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박문출판사, 1937, 340-342면.
이래 상당히 많은 양의 연구가 존재한다. 후렴(조흥구, 여음)을 논의한 연구사들은 〈어부사시사〉의 각 장의 제2행과 제4행에는 일련의 시어(제2행 : ‘떠라 떠라’의 형태, 제4행 : ‘至悤 至悤 於思臥’)들이 있는데, 이 시어들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가들은 후렴, 조흥구, 여음 등의 명칭을 부여하고 있다. ‘후렴’이란 명칭을 전제로 하여 송정숙은 각 장의 제2행과 제4행을 그 시어의 형태에 따라 각각 2보격의 후렴 4보격의 후렴이라 지칭하고 있다. 송정숙, 「어부가의 운율과 심상」, 『사대논문집』제18집,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1989, 77면.
조흥구라고 지칭하는 견해를 보면 정운채는 제2행과 제4행의 두 가지를 조흥구라 지칭하면서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각각 실사조흥구와 허사조흥구로 나눌 수 있다고 했다. 그것은 후렴이나 여음이란 용어는 그 의미가 달리 쓰일 수 있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라 본다. 정운채,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의 대비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96면.
여음이라 지칭하는 견해를 보면 김대행은 제2행과 제4행을 모두 여음으로 처리하면서 특히 제2행은 작품의 유기적인 조직성에 유기성을 더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 김대행, 「〈어부사시사〉의 외연과 내포」, 『고산연구』창간호, 고산연구회, 1987, 『시가시학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91, 170, 177면.
그 외에도 김열규 김열규, 「고산작품론」, 『고산연구』창간호, 고산연구회, 1987, 『한국문학과 기호학』, 문학과 비평사, 1988, 128면.
, 이재수는 둘 다 여음이라 지칭하며 작품설명을 하고 있다. 이재수, 『윤고산 연구』, 학우사, 1955, 173면.
또한 송정숙은 앞의 논문인 「어부가의 운율과 심상」(1989)에는 후렴이라 칭했고, 다시 「어부가계 시가연구」(1990)에서는 여음(이것은 후렴과 여음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의미에서 지칭한 것 같다)이라 칭하였는데, 이 여음은 작품에서 사(詞)의 리듬을 살리기 위해 여음을 첨부한 것이며 이는 중국어와 다른 특징이 있는 우리말에서 오는 현상이라는 견해를 밝힌다. 송정숙, 「어부가계시가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1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