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

 1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1
 2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2
 3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3
 4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4
 5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5
 6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정신과 문화컨텐츠 연구 - 제화시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題畵詩와 동양예술문화의 융합
〈목차〉
1. 머리말
2. 題畵詩의 형성과 발전
3. 題畵詩의 특징과 함의
4. 문인화 속 題畵詩의 기능
5. 題畵詩와 詩書畵의 융합
6. 맺음말
1. 머리말
현대사회의 화두는 소통이다. 인류의 소통은 평화적인 문화를 낳는다.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시를 통해 문화적으로 소통했다. 시는 문인들의 소통을 위한 문학이자 예술이었다. 그 중 ‘題畵詩(畵題詩)’는 동아시아의 전통회화에서 그림의 여백에 시를 적어 넣는 경우에 그 시를 말한다. 또는 題畵詩를 시 그 자체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시, 서, 화가 융합된 상태를 말하기도 한다. ‘題畵詩‘를 ‘畵題詩’ 라고도 하며, 또는 그림을 보고 연상하여 지은 시를 ‘題畵詩’, 그림의 동기가 되었던 시를 ‘畵題詩’라고 하기도 한다.(박상환,『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189쪽 참조.) 題畵詩는 시와 그림이 따로 존재하는 畵外 題畵詩에서 시가 화면의 여백에 적히는 畵內 題畵詩로 발전하였다. 元代 이후에 창작된 대부분의 題畵詩는 畵內 題畵詩이므로, 오늘날 題畵詩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畵內 題畵詩를 떠올리게 된다. (김상미,「소식題畵詩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5쪽)
그림과 題畵詩는 서로를 제재나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시, 서, 화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다양한 예술분야의 결합은 다양한 장르간의 융합과 교류 가능성을 보여준다. 전통적으로 題畵詩가 시, 서, 화의 융합을 통해 담고자 하는 것은 정신주의적 학문관과 권력에 대한 비판의식 그리고 인생의 궁극적인 경지의 표현 등이었다. 박상환,『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14쪽.
본 고에서는 동양전통의 題畵詩가 지니고 있는 융합과 통섭의 정신을 새롭게 조명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박상환, 위의 책, 190쪽.
이러한 전통문화의 연구는 우리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문화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한 단계높이는 작업이 될 것이다.
2. 題畵詩의 형성과 발전
문학과 회화의 결합은 漢代에 이미 있었다. 이때는 문학이 초상화의 찬을 짓거나 회화가 문학작품에서 소재를 취하는 형식으로, 문학과 회화는 각각 독립성을 갖고 있었다. 갈로 지음, 강관식 옮김, 『중국회화이론사』, 돌배개, 2010, 232쪽 참조.
魏晉南北朝(221~589)의 많은 화가들은 당시 유명한 시가를 제재로 삼아 회화창작을 하기 시작하였다. 남북조시기에 들어오면서 기존의 미학사상은 크게 변화하여, 점차 ‘神似(정신이 닮은 것)’ 나 ‘傳神(정신을 전하는 것)’을 중시하였다. 박상환,『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192쪽 참조.(전통적으로 훌륭한 그림은 形似와 神似가 통일되어야 한다. 중국은 일찍이 고대에 형과 신이 겸비된 회화가 출현했다. 춘추에서 양한까지는 형사를 중시했고, 위진시대에는 신사가 중시되었다. 남북조와 수당시대에는 형과 신이 아울러 중시된 시기이다. 송대에는 신사보다 형사를 중시하는 경향이 우세했다가, 문인화이론이 흥기하면서부터 문인화가들은 형사보다 신사를 중시하게 되어, 신사가 회화비평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갈로 지음, 강관식 옮김, 『중국회화이론사』, 돌배개, 2010, 212쪽 참조))
東晉에서 산수시와 산수화가 잇따라 나타났지만, 이는 단지 자연미에 대한 인식을 표현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