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

 1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
 2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2
 3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3
 4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4
 5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5
 6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6
 7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7
 8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8
 9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9
 10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0
 11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1
 12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2
 13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3
 14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4
 15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5
 16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6
 17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상] 한국영화와 여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본문내용
서 론
우리나라의 여성의 지위상승은 서양국가나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에 비해서도 상당히 더뎠던 것은 사실이다. 이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그 이유를 찾을 수 있겠는데, 아주 오래전부터 깊게 머릿속에 인식되어 온 남존여비사상이 그 큰 이유겠고, 또한 이를 바꿀수 있는 기회를 조선시대에는 쇄국정책이 박탈하였다. 그 후, 일제침략기에 들어 소위 ‘모던걸’이라 불리는 신여성들의 가시적인 활동이 두드러졌는데, 이도 여성전체의 지위변화에 큰 영향을 주기에는 부족함이 없지 않아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한국전쟁,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런 역사적 소용돌이 속에서 여성의 지위는 물론 국가의 총체적인 위기였기에, 인간의 존엄성조차 보장받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1960년대, 이 시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대한민국은 비참한 전후 상황을 발전시키기에 이르렀고, 이때부터 여성의 지위도 약간이나마 미동을 하였다고 생각한다. 물론, 90년대이후에 들어서 여성의 지위의 가시적인 비약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이번 과제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 대한민국의 여성의 지위에 대한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기로 하였다.
물론, 여성의 지위변화는 경제적인 면, 정치적인 면등 많은 부분이 있겠지만, 또한 이를 알기위해서는 많은 연구 관련 서적들을 참고하여야 겠지만, 우리조는 여성의 지위변화에 대한 추이를 한국영화에서 찾아보기로 하였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있어서, 대중 매체는 그야말로 삶의 일부와도 같은 것이다. 대중 매체는 사람들의 사고와 관점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도 모르게 대중 매체에서 규정한 이미지를 받아들이게 되기도 한다. 특히 다른 어떠한 방식보다도 영상을 통한 전달 방식은 사람들에게 더욱 쉽게 받아들여지고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러한 영상 매체 중 어쩌면 가장 대중적이면서도 큰 줄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영화이다. 그리고, 이런 영화를 통하여 주연이 되었든 조연이 되었든,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는 그 시대를 대표하는 것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런데, 이 세상에는 수많은 영화가 있고, 우리나라도 영화산업의 눈부신 발전으로 인해 일년에 양산되는 영화만 수천개가 넘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많은 영화를 다 다루지는 못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가장큰 영화제인 청룡영화제, 대종상 등 굵직한 영화제에서 수상한 영화를 중심으로 해서 진행을 하였다. 그렇다면, 왜 수많은 영화들 중에 영화제 수상작이어야 하는가? 영화제 수상을 했다면, 그것은 사회적으로 일종의 공인이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고 말하고 싶다. 특히, 청룡,대종상 등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영화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대중과 절대 공감할 수 없는 영화가 이 영화제에서 수상한 경력은 극히 드물다고 한다. 그래서, 아주 대중적이고 지배적인 영화제인 두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다루면서 60년대 이후 여성상의 추이에 대한 연구라는 집단과제를 진행하였다.
참고문헌
김소영.『시네마,테크노 문화의 푸른 꽃』열화당,1996
유지나 변재란,『페미니즘/영화/여성』여성사,1993
원용진,한은경,강준만『대중매체와 페미니즘』한나래,1992
유지나,“한국영화를 거꾸로 읽는다”영화평론 4.1992
이남,“여성적인 영화만들기에 대한 고찰”서강대학교 석사학위,1998
서인숙“90년대 한국 영화에 담긴 여성관”영화통권20-21.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