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

 1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
 2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2
 3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3
 4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4
 5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5
 6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6
 7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7
 8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8
 9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9
 10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0
 11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1
 12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2
 13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3
 14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4
 15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5
 16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6
 17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상] 보조국사 지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2. 고려의 불교(高麗佛敎)
3. 지눌의 생애
4. 심 성 론
5. 돈오점수
6. 권수정혜결사(勸修定慧結社)
7. 간화론
8. 지눌과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비교
9. 지눌의 영향
10. 지눌의 저서
참고서적

본문내용
국사는 의종(毅宗) 12년(1158)에 태어나 희종(熙宗) 6년(1210)에 돌아가셨다. 4대에 걸쳐 불과 52년이라는 짧은 주세 기간이었다. 그러한 이 시대는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나 안정과 평화가 유지되기보다는 오히려 불안과 변화의 소용돌이가 연속되고 있던 시대이었다. 그러한 상황에서 불교의 수행과 학문적 발전을 기대할 수 없었고 오히려 더욱 타락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국사가 태어나기 바로 전의 시대만 하더라도 인종(仁宗:1122-1146)은 훌륭한 내치로써, 유학과 문학을 진작하고 그 스스로 검약(儉約)과 소박(素朴)한 생활을 하였으나 외척(外戚) 이자겸(李資謙)에게 권력을 맡겨 이자겸의 난을 자초하였다. 또한 묘청(妙淸) ․ 백수한(白壽翰)의 음양설(陰陽說)을 혹신(惑信)하여 결국 묘청난(妙淸亂)을 맞이하게 되었고 이것으로 인하여 왕권의 쇠약이 가속화되므로 하극상(下剋上)의 풍조가 조장되어 무인의 난과 지방의 동란까지 일어나게 되었다. 불교와 왕실과의 관계에 있어서 불교는 통일 고려국가를 탄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고려의 귀족사회가 점점 난숙하여 감에 귀족과 사원과의 유대관계는 더욱 심화되었다. 외척 인주(仁州) 이씨(李氏)와 이에 대한 반대세력인 안산(案山) 김씨(金氏)를 비롯하여 왕실이 각기 법상종(法相宗) 통일신라 때 성립된 불교 종파.
과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에 연결되면서 각 사원이나 교단들이 그들 귀족들의 정치적 싸움과 서로 복잡하게 얽혀갔다. 그 예로서 인종 때 이자겸의 난시 그의 아들이 승의장(僧義將)으로서 현화사(玄化寺)로부터 승 300명을 이끌고 궁성 밖에 왔다는 기록을 보아서도 그 당시 승과 왕실의 귀족과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길희성, 『지눌의 선사상(禪思想,)』, 소나무, 2001
김교빈, 『한국철학 에세이』, 동녘, 2003
예문동양사상연구원 ․ 이덕진 편저, 『한국의 사상가 10人 : 지눌』, 예문서원, 2003
Norbert Schiffers저, 한상우 역, 『지눌과 아씨시 프란치스꼬』, 종교신학연구 창간호, 1998
추만호, 『나말려초 선종사상사 연구』, 도서출판 이론과 실천, 1992
고영섭, 『한국불학사』, 연기사, 1999
이준우, 『한국불교의 통일사상』, 五悳園,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