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대외관계

 1  [중국] 중국 대외관계-1
 2  [중국] 중국 대외관계-2
 3  [중국] 중국 대외관계-3
 4  [중국] 중국 대외관계-4
 5  [중국] 중국 대외관계-5
 6  [중국] 중국 대외관계-6
 7  [중국] 중국 대외관계-7
 8  [중국] 중국 대외관계-8
 9  [중국] 중국 대외관계-9
 10  [중국] 중국 대외관계-10
 11  [중국] 중국 대외관계-11
 12  [중국] 중국 대외관계-12
 13  [중국] 중국 대외관계-13
 14  [중국] 중국 대외관계-14
 15  [중국] 중국 대외관계-15
 16  [중국] 중국 대외관계-16
 17  [중국] 중국 대외관계-17
 18  [중국] 중국 대외관계-18
 19  [중국] 중국 대외관계-19
 20  [중국] 중국 대외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 중국 대외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중국 대외정책 개괄
2. 중국 대외정책 결정구조
1) 중국 대외정책 결정요인
2) 중국 대외정책 결정과정
3. 중국 대외관계 원칙
4. 전통중국의 대외관

II. 중국 대외 정책의 변화
1. 대외에 의존한 급진적 경제발전(1949~1953)
2. 중간지대론적 대외인식(1953~1969)
3. 제 3세계론을 통한 반미∙반소정책(1953~1969)
4. 조반외교를 통한 새로운 대외관계형성(문화혁명시기~1970)
5. 미. 중 데탕트 시기(1972-1978)
6. 친미 친서방 일변도의 외교 정책(1978-1982)
7. 독립자주의 외교 노선(1982-1989)
8. 전방위적 외교정책(1989-현재:탈냉전기)

III. 중국과 각국 간의 대외 정책
1. 미래 중-미 관계 예상
2. 중-일 관계
1) 중-일 관계의 발전
2) 중국의 대일 정책 기조
3) 중-일 관계의 발전전망
3. 중-한 관계
1) 한미 방위동맹이 북 중 군사동맹과의 차이점
2) 북한핵.미사일 독저 개발결정의 직접적 계기
3) 북 중 관계현황
4) 한국과 중국의 대외관계
5) 韓國과 中國의 국교정상화 배경과 영향
6) 현행 中國의 한반도정책
7) 한중관계 정상화를 통한 東北亞 安全
8) 한·중 관계 현황

IV. 결론
1. 위협의 능동적 주체로써의 중국: 중국 위협론
2. 위협의 수동적 주체로써의 중국: SARS와 복음#참고 문헌
본문내용
I. 서론

1. 중국의 대외정책 개괄

세계적 냉전체제의 종속이후 중국은 대외정책에 있어서 발 빠른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중국의 대외정책에는 가변적인 면과 불변적인 면이 있다. 가변적인 것은 국내외 정세의 주ㆍ객관적인 변화에 따라서 대외정책에 변화를 기하는 정책적 탄력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실주의와 실용주의야말로 중국(개혁과 개방정책의 추진 이래 중국은 외교정책에 있어서 과거와는 달리 탄력적으로 운영하여 왔다)의 대외정책 제정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준칙이 되어왔다.
이에 반해 불변적인 것은 모든 정책의 변화와 제정은 반드시 국가이익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냉정한 국제사회의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것으로써 어쩌면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사회에서 국가가 추구하는 대외목표로는 국가안보와 경제적 번영, 그리고 국제적 지위의 향상을 들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바로 국가이익과 직결되며 중국도 예외는 아니라서 이 세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외정책을 결정해 왔다. 중국의 대외정책 결정은 헌법상 최고 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 혹은 헌법상 최고 행정기관인 국무원의 소관이다. 그러나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상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인민대표대회나 국무원 그리고 최고 인민법원, 최고 인민검찰원 보다 상위에 있는 중국공산당이 실질적인 대외정책의 결정기관이 되어왔다. 현재 대외관계의 쟁점으로는 독립자주원칙, 평화공존 5원칙(영토보존의 상호존중, 상호불가침, 상호 내정 불간섭, 평등호혜, 평화공존), 반패권주의 원칙, 하나의 중국원칙 등이다.
참고문헌
서진영, “현대중국정치론”
왕조군, 오국광, “등소평 이후의 중국”, 김태용 역, 조선일보사, 1994
하빈, “등소평 사후의 중국”, 허남익 역, 연암출판사, 1995

*논문
김성주, “탈냉전시대에 있어 소, 중의 대내외정책변화”, 한국과 국제정치
박인환, “중국과 동북아 국제관계: 중국의 대외정책분석과 지정학적 특성”, 중화연구 89호, 2001
서진영, 「부강한 중국의 등장과 중국위협론, 그리고 한반도」한국과 국제정치 제18권 제2호, pp1-27, 2002
--------, 「중국의 정치적 현실주의와 대외 정책」이호재교수 정년기념 논문집, 2003
송영석, “등소평 이후의 중국 대외정책과 동북아 정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정보센터 중국편현, 1993
오일환, "모택동 시기 중국의 대외관계 인식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 vol. 27, No. 1, 2001, p.7~9
주현종, 中國의 對日政策과 中日關係, 한서중국연구소, 2003
홍기,"중화인민공화국대외관계사" p.176, 1963년 제 3, 4기 참조, 재인용
Franz Schurmann and Orvil Schell, eds.. The China Reader, Vol.3, p.373,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