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

 1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1
 2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2
 3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3
 4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4
 5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5
 6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6
 7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7
 8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8
 9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9
 10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10
 11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사 한국장로교의 분열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강의목적:분열계기를 알려주는 것. 소속 교단이 어떤 입장에 있는지 알게 하는 것.
- 예상청자: 장로교인 청장년.
- 키워드: 고신, 조신, 통합, 합동, 박윤선, 박형룡
- 예상반응: 자신이 소속된 교단과 자신의 신앙이 잘 호응하는지 스스로 깊이 생각하게 됨.
내용은 장로교로 제한.
2.고신파 분열
1) 배경
- 1945 해방
1945년 한상동, 주남선(둘 다 경남노회 목사) 등의 출옥성도 신사참배에 저항하여 옥살이를 하게 된 기독교인들. 해방 후 신사참배를 직간접적으로 찬성한 이들과 갈등이 생겼다.
들 경남노회에서 교역자들에 대한 자숙안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10년사』, 149. 한국기독교역사학회편, 『한국기독교의 역사 Ⅲ』 (한국기독교 역사연구소: 2009), 83에서 재인용. 자숙안의 내용은 교역자와 장로들이 각 교회에서 자숙기간 동안 사직하고 기간이 끝나면 시무투표를 통하여 진퇴를 결정한다는 것.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편, 『한국 기독교의 역사 Ⅲ』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교회성장과 한국교회
1.서론
- 강의목적:대형교회에 갖고 있던 나이브한 이해를 좀 더 비판적으로 만드는 것.
- 예상청자: 청장년층 기독교인.
- 키워드: 사회혼란, 이촌향도현상, 신도시 개발, 주차장.
- 예상반응: 교회에서 양적팽창을 빼면 무엇이 있는지 생각하게 됨.
다루는 기간: 해방이후부터 1990년대.
2. 한국교회성장의 조건들
프레젠테이션용 표 배덕만,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김흥수·서정민 편, 『한국기독교사 탐구』 (대한기독교서회, 2011), 233.
연도
1950
1960
1970
1980
1990
교인수
60만
104만
219만
718만
1,188만
이 놀라운 폭발적 성장의 요인들을 알아보자.
1) 50-60년대 성장
한국전쟁 기간 중 북한기독교인의 대거 월남. 서북지역 기독교인들은 해방 전 전체 기독교인들의 2/3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배덕만,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218을 참고.
전쟁기간, 재건과정의 사회사업, 부흥운동 -> 교회성장
해방이후, 한국전쟁이후의 정치적 혼란, 독재정부의 압박
-> 심리적인 불안, 열악한 생활. -> 안정을 찾아 교회로.
국가주도형 산업화 -> 저임금·저곡가정책 -> 농촌붕괴 -> 이촌향도현상
-> 과밀도시화, 도시빈민 급증 -> 대도시교회 급속성장. 예) 순복음교회 담임목사 조용기. 호남에서 상격한 도시빈민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설교, 신유·방언 중심의 카리스마적 목회 등을 통해 폭발적 성장을 거뒀다. 설립 10년 만에 8000명 가까이, 여의도 이전후 70만명의 규모에 이르렀다. 이에 대해서는 배덕만, “한국기독교의 고도성장”, 233-234를 참고.
2) 70-80년대 성장
급속한 경제성장&과밀도시화 -> 신도시(강남, 분당 등) 개발
-> 신흥 중산층 대거 이동, 교회도 신도시로 이동
-> 중산층 중심의 대형교회 등장.
예) 소망교회, 사랑의 교회, 순복음교회, 광림교회, 온누리교회, 명성교회 등.
3) 보수적 정치집단과 교회의 유착.
교회가 보수적 정치집단에게:
교회는 애국심, 반공주의 등을 신자들에게 내면화시킴.
신자들을 탈정치화 혹은 우경화시킴.
보수적 정치집단이 교회에게:
군목제도 도입 군목제도. 목사를 장교로 두어 평시에는 상담과 관심병사 관리 등을, 전시에는 사기진작과 장례를 전담하게 하는 제도.
-한국전쟁 중에 창설.
-1960년대 한경직 목사를 중심으로 전군신자화사업.
-수많은 젊은이들이 복무기간 중 기독교인이 됨.
-현재도 군목이 있음.
직간접적 후원. 예) 유신정권 공안통치기에 100만 명 대형집회를 서울한복판에서 진행.
3. 90년대 이후 대형교회들의 성장전략들
90년대 이후 성장 정체 및 쇠퇴 시작. But 일부 대형교회는 팽창지속.
즉 대형교회가 중·소형 교회로부터 신도를 흡수 하는 것.
성장전략: 자녀교육시설 및 프로그램, 주차공간, 주변환경, 비슷한 수준의 교육, 경제상황, 직업을 공유하는 교회구성원 고려. 세련된 예배당. 불편하지 않은 설교, 탄탄한 재정.
4. 결론
한국교회의 양적 성장은 상당부분 정치적 혼란, 농촌붕괴, 과밀도시화에 기인함. -> 90년대 이후로는 이 조건이 유효하지 않음.
대형교회들은 신도시 중산층을 중심으로 형성, 발전되었음. -> 중산층의 이해관계를 반영함. -> 대형교회가 주류사회를 비판적으로 대하기란 어려움.
대형교회들은 독재, 남북의 적대적 관계를 비판하기보다는 옹호함으로써 성장함.
대형교회의 중소형교회에 대한 흡수, 교회 간 빈부격차 심화 현상은 그리스도교 핵심가르침(이웃사랑, 자기포기)와 어긋남.
기독교인의 수평이동이 일어나는 요인(주차장, 교회구성원 계급계층, 시설 등)은 그리스도교 정신과 무관.
성장과 작은 교회라는 순진한 프레임에서 벗어나야함. 교회가 무슨 역할을 해야 하는지 먼저 파악하고 그에 맞는 규모를 추구해야함. 사람이 많이 필요한 일이 있을 수 있고 적어도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수 있고 사람이 너무 많으면 효율이 떨어지는 일이 있을 수 있음.
성장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함. 대형교회들이 그 많은 자원과 신도수를 가지고 어떤 하나님 나라운동을 했는지 생각해 보아야 함.
한국교회에게 전하는 하나님의 역사적 가르침.
기독교가 아편에 머물러선 안 됨.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하나님 나라로 초대해야함.
중요한 것은 양이 아니라 패턴. 교회가 얼마나 크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교회가 하나님 나라를 보여주는지가 중요.
예수를 따른다는 것은 도시의 좋은 옷 입은 사람이 아니라 광야에 거친 옷 입은 사람을 따르는 것.
참고문헌
한국기독교역사학회 편, 『한국 기독교의 역사 Ⅲ』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