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편향적인 언론의 경제기사

 1  대기업 편향적인 언론의 경제기사-1
 2  대기업 편향적인 언론의 경제기사-2
 3  대기업 편향적인 언론의 경제기사-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기업 편향적인 언론의 경제기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한쪽 측면만을 보도하는 편향 보도는 2000년대 이후 가장 눈에 띄는 국내 언론보도의 문제다. 정치적인 문제 뿐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문제까지 좌-우, 진보-보수의 프레임으로 재단된다. 이 프레임에 따라 팩트가 수집, 정리되며 때로는 왜곡된다.
2013년 11월 30일 조선일보에 실린 ‘대형마트 휴무로 납품 뚝...올해 고구마 90%가 창고 쌓여’라는 기사는 경제민주화를 위해 정부가 실시한 대형마트 강제휴무일이 중소 납품업체 매출 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내용이다.
‘경기도 여주에 있는 우노영농조합은 8년째 농민들과 계약을 맺고 재배한 농산물 전량을 대형마트에 공급해왔다. 하지만 작년부터 월 2회 대형마트 강제 휴무가 시작되면서 납품량이 60% 가까이 줄었다. 조합은 줄어든 물량을 도매시장으로 돌리려고 1년 넘게 뛰어다녔지만 가격이 너무 낮아 포기했다. 이대영 우농영농조합 사장은 ”납품이 밀리면서 올해 수확 물량의 90~95%가 출하되지 못한 채 창고에 쌓여있다“고 말했다.’
이 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선일보 기사는 이명박 정부 후반인 2010년 도입된 경제 민주화 조치들이 집행 3년을 지나면서 갖가지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경제 민주화가 오히려 농민과 수산인, 예비 자영업자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한 달에 이틀 뿐인 유통업체 휴무일 때문에 납품량 60%가 줄고, 올해 수확 물량의 90% 이상이 출하되지 못하고 있다는 생산업체의 주장은 아무리 따져 봐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 강제 휴무 조치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측은 대형 유통업체다. 언론사의 주요 광고주들이기도 한 이들 유통업체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사라고 밖에는 보이지 않는다.
지난 12월 11일 머니투데이는 ‘정부 규제로 1조5000억원이 사라졌다’는 제하의 기사에서 유통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대형마트가 의무휴업으로 문을 닫으면 전통시장이 아닌 온라인쇼핑몰이나 편의점, 중형 수퍼마켓으로 소비가 흩어질 뿐”이라며 “아예 장을 보지 않는 소비자들도 많아 대형마트나 SSM의 매출 감소분은 대부분 증발됐다고 봐야한다”고 주장했다.
대형마트가 의무적으로 휴업을 한다고 해서 마트에 갈 사람들이 전통 시장에 갈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다. 우선 대도시의 경우 재래시장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사람들이 생필품을 사러 그 먼 재래시장을 찾아갔을 리는 없는 것이다.
하지만 온라인 쇼핑몰이나 편의점, 동네 수퍼마켓의 매출이 늘어난 것을 두고 ‘흩어진 소비’라며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하는 것에 대해서는 납득하기 어렵다. 대형마트의 매출은 줄었어도 골목상권의 매출은 적게나마 늘어난다. 기사대로라면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사는 것만’이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는 논리인데 기사를 읽는 그 누가 수긍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대형 유통업체를 비롯해 대기업의 이해 관계를 대변하는 기사는 보수언론과 경제지, 경제 관련 인터넷 미디어 등 경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매체들에서 두드러진다. 전경련이나 경총 등 기업들의 이해를 대변하는 단체들의 목소리는 크게 실리지만 중소 자영업자들이나 노점상들의 목소리는 설날이나 추석 때 경기 진단 기사에 한두마디 인용되는 것이 전부다.
뉴스론 강의 시간에 언급됐던 학자 터크만(Tuchman)은 1970년대에 이같은 현상을 두고 언론이란 ‘그 자체가 기업이며 자본으로 국가 정당성과 현 상황 유지하는 일에 기득권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기업과 경제 뉴스의 경우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보지 않고 우발적인 사건으로만 다룸으로써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고, 복잡한 경제현상을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현상으로 무력화한다고 지적했다.
엔젠스버거(Enzensberger)는 매스미디어는 기존 사회의 위계질서를 옹호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의식사업이라고 정의하고, 반대 의견의 경우 이단적이로 기이한 것으로 제시함으로써 무시할 만한 데 없고 부적절한 것으로 취급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