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

 1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
 2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2
 3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3
 4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4
 5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5
 6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6
 7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7
 8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8
 9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9
 10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0
 11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1
 12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2
 13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3
 14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4
 15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5
 16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6
 17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7
 18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8
 19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19
 20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과 서마 시 Marcy책 느낀 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과서(Marcy 책)에 대한 느낌?
‘행동주의’라는 말을 들었을 때 떠오르는 단어(형용사, 부사, 명사, 동사 등) 10 가지
Survey(조사)
*
인식론이란?
theory of knowledge, epistemology
인식론은 주관이 객관을 파악하는 활동을 연구. 대상이 아닌 앎 자체(not 세계, 객관)에 대한 탐구. ‘너 자신을 알라’, ‘cogito ergo sum’
철학에서 인식론의 위치
철학= 인간과 세계를 다루는 학문
인간: 인식론=지성(진), 가치론(윤리학)= 의지-실천(선), 가치론(미학)= 감성(미)
세계: 존재론
철학의 중심 이동
고대(존재론)-> 중세(존재론=신학)근대(인식론)->현대(가치론/미학)
근대의 성격: ‘주체’의 확립-> ‘인식하는 나’
현대의 성격:’’주체’의 해방-> ‘살아가며 실천하는 나’. 감성과 욕망을 지성과 논리로부터 해방. 페미니즘/포스트모더니즘/네오맑시즘의 시대
I. 학습이론과 인식론
*
입장과 관점
앎이 가능한가? 존재론적 질문
허무주의: 논증자체를 거부
회의론: 지식 가능성 확신 못함을 적극적으로 논증
지식 자체에 대한 회의론 / 인식 정당성에 대한 회의론*
경험주의=국지적 회의론
상대주의: 지식은 인정하나 보편타당성 부정: 앎의 과잉, 복수성
실재론: 지식은 알 수 있고 유일함.
소박한 실재론: 눈에 보이는 것. 과학적 실재론: 도구/미디어를 통한 미시/거시
어떻게 앎을 알 수 있는가? 인식정당성에 관한 질문
방법의 문제: 경험론/합리론 -> 인식론의 주된 논의와 사유
인식주체 중심: 객관 주관
주관이 객관에 다가간다: 실재론/객관주의/경험주의
객관이 주관에 다가온다: 관념론/주관주의/상대주의/합리주의
*
지식이란?
지식의 종류
episteme: 근거가 있는 이론적 앎. 논증 가능. 보편적 이성
sophia: 직관적인 앎. 지혜, 직관적 이성
phronesis: 목적에 대한 앎. 가치 평가. 비판적 이성
techne: 수단에 대한 앎. 도구적 이성
지식의 특성
양극적 구조: 주관과 객관
관조적 태도(theoria): 수동적(객관이 주관을 규정)
진리 엄밀성: 의견, 추측, 주장과 다름. cf) 잘못 안다=모른다≠안다.
지식의 조건
진리대응성: 실재론, 이데아론. Plato
정합성: 논리학. 내적 정합성.
실용성: 효과, 효력. 의미 조작. Bacon, Dewey
합의가능성: 간주관성. Kuhn(불가통약성)
*
인식론, 학습이론, 그리고 수업이론
분류와 균형
인식론: 앎 자체에 대한 이론: episteme
학습이론: 앎의 바람직한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이론: phronesis
수업이론: 앎의 변화를 야기하는 처방적 이론: techne
철학적 변화 양상
주체 중심성: 객관 -> 주관
주체 정태성: 정지 -> 운동
지식 조건: 대응 -> 정합 -> 실용 -> 합의가능성
지식 종류: episteme -> sophia -> phrenosis -> techne
제1 철학의 관심: 지성 -> 의지 -> 감성
학습이론의 범주 확장
학습이론 -> 수업설계이론 -> 수업설계 모델: Gagne, Merrill, Reigeluth
인지과학 = 인식론(철학) + 심리학(사회과학) + 생리학(자연과학)
인문학 = 언어학 + 기호학 + 미학
*
방법적 문제
귀납과 연역
귀납: 발견의 논리 /감각과 경험 중심 / 내용 확장 / 필연성 부재 /누적적 발전 cf) 인과관계성 Hume(①시공간적 인접성, ②시간적 선행성, ③항시적 결합성), Mill(①시공간적 인접성, ②시간적 선행성, ③혼잡변인 통제)
연역: 정당화 논리 / 이성과 토대 중심 / 내용 정체 / 필연적
분석과 종합
분석: 나누기 / 주어에서 술어가 나옴 / 지식 확인
종합: 합치기 / 주어와 술어는 독립적 /지식 생성
합리주의와 경험주의
경험주의: 보편타당 하지 않음 / 내용 풍부 (cf. 경험주의에서 환원 가능성 문제)
합리주의: 보편타당 / 내용 없음
논문의 구성과 방법
*
학습이론은 무엇인가?
의문과 해답으로서의 지식
체계적 관찰을 활용한 관찰
탐색적 관찰
가설검증적 관찰
“관찰된 결과의 일반적 명제화”로서 지식의 획득
방법: 이론 형성 과정의 점증적 성격
학습이론: 학습과 연합된 결과를 설명하고, 학습을 유발시키는 조건을 예언하는 것.
수업이론: 효과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 이론/지식을 적용하는 것.
Marcy 의 특정적 입장은? Chatting Time
*
II. 초기 이론
Ebbinghaus(1850-1909): ‘연합의 원리’, 실험주의, 언어학 중점
철학에서 과학적 심리학으로 분리된 계기 마련
고전적 연합주의(associationism): 특정한 연합이 자주 형성될수록(빵과 버터) 연합의 강도는 높아진다(‘빵’하면 ‘갈색’이라는 개념보다는 ‘버터’가 보다 자주 반응)
실험패러다임 태동: 독립변인=연합된 아이디어 목록의 반복횟수, 종속변수: 회상(재생)
무의미 철자 / 망각곡선/학습곡선/과잉학습 -> 달달 외우기
Throndike(1874-1949): ‘효과의 법칙’
Ebbinghaus가 언어학습에서 개념과 개념(명제적)의 연합에 집중
감각(sensation)과 충동(impulse), 또는 행동 간의 연합에 관심
다윈의 종 연속성 개념에 기반 - 실험에서 동물 사용(고양이와 병아리) -> ‘정신’의 탈색 -> blackbox 개념을 인간에게도 적용
유기체는 행동의 결과가 만족스러우면 감각과 충동을 연합한다.: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
Pavlov : 연합주의+ 반사학(reflexology) 추가
고전적 조건형성: 1) 무조건 자극 -> 무조건 반응, 2) 무조건 자극 + 중성 자극 연합 -> 무조건 반응, 3) 중성자극(조건자극) -> 조건 반응
Cf) 고차조건형성: 조건 자극과 새로운 제3의 중성자극을 연합하면 이 중성자극도 새로운 제 2의 조건자극이 됨
*
Watson: 드러난 ‘행동’
-철학에서 과학적 심리학으로 분리된 계기 마련
-심리학은 객관적 데이터에 의존해야. 자연과학적 태도
Guthrie: S-R
반응 시에 일어나는 자극은 그 반응 재발에 도움(단서/맥락?)
Tolman: 유목적 행동주의
자극 외에 유기체의 목적이 고려되어야
형태이론(Gestalt)
해석주의적. 통찰(insight)
유럽중심: 대륙의 합리주의 전통과 연계
논의점
인식론적 전통과 학습심리학의 계보: 영미의 경험주의 전통과 미국의 행동주의 / 대륙의 합리주의
환원주의
생물학과 발달의 문제
학습이론과 수업이론, 함축과 처방
*
II. 급진적 행동주의: Skinner
*
대응적 행동(respondent behavior)과 조작적 행동(operant behavior)
대응적 행동: Pavlov -> 생리적으로 유발된 행동
조작적 행동: Skinner -> 유기체가 능동적으로 방출한 행동
강화 유관성(contingencies of reinforcement)
S(discriminative stimulus:변별자극) : 행동 선행 요인(환경)
R(operant response:조작적 반응) : 조작적(방출적,선택적) 행동
S(contingent stimulus:유관 자극) :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유관된, 인과관계적인) 행동 후행 요인
Hume의 인과관계 추론에 있어 심리학적 입장과 비견 (유관성은 인지된 인과성)
행동(R) 은 그 앞(Sd)와 이후(Sc)의 환경 사태 속에서 이해돼야
어떤 행동이 보상을 받거나 강화를 받으면 다시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짐
강화의 기능적(not 가치판단적) 특성: Not ‘좋은 것’ but ‘행동 재발을 시키는 것’이 강화. 순환론적.
질문: 강화는 보상인가?
1. 행동의 강화
*
행동조작의 원리:= 학습의 원리
만족스런 자극
불쾌한 자극
유관자극제시
정적 강화

유관자극제거
강화 제거
부적 강화
*
정적 강화
강화물의 유형
일차 강화물(primacy reinforcer): 생물학적 가치
조건 강화물(conditioned reinforcer): 일차 강화물에 연합된 강화 (사회적 강화물 등)
강화의 상대성과 강화물 선택
Premack의 원리 활용: 자주 일어나는 행동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 행동 빈도를 높이는 강화물
강화물 선택 시 고려: 평소 행동 관찰에 근거
강화가 발생하지 않으면 강화물 대체
부적 강화
일어난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한 불쾌한 자극: 벌
일어나지 않은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불쾌한 자극: 부적 강화
*
반응 약화:벌
벌의 문제점
일시적-> 풍선 효과(강남 아파트 가격 잡기)
회피나 도피 등 부적 강화 가능
공격성을 학습
학습된 무력감
벌을 사용해야 할 경우
신속한 행동 변화가 필요할 경우
관행이 규칙과 다를 경우: 몰라서 안하는 경우. 벌+설명
반응 약화: 강화 제거
소거: 주어지고 있는 강화물 공급을 중지
반응 대가: 이미 주어진 강화물을 제거
격리: 이미 처해 있는 강화 환경 공급을 중지
이 4 가지 강화 전략은 섞어서 사용 가능
*
새로운 행동의 형성
강화는 이미 습득하거나 자발적으로 표출한 행동 빈도 높이는 전략
행동이 표출된 적이 없는 경우에는?
행동조성(shaping) / 연쇄(chaining) / 변별 약화(fading)
행동조성(shaping)
목표에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행동을 강화
기대 반응 생성 능력 여부가 중요
인과관계 추론: 시공간적 근접성, 동시 발생성, 불변성. (Hume)
수업 위계성, small chunking과 관련
연쇄(chaining)
별개의 행동을 절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강화
후진 연쇄 / 전진 연쇄
수업 계열화와 관련
*
(자극)변별학습과 변별약화
변별 강화
자극 일반화와 반대 개념
자극 일반화: 자라와 솥뚜껑
자극 변별: 주인 발자국 소리에 꼬리를 흔드는 개
단순 강화 전략: 행동 생성 / Yes-No 형 강화
변별 강화 전략: 적용 맥락 학습 / 선다형 강화
새로운 자극과 원래 조건자극 간의 유사성을 줄여감: 변별약화
변별 약화
단서 독립적 행동 반응을 목표
변별자극의 점진적 제거
*
2. 행동의 유지
간헐적 강화
강화 유관
일관성
반응(R)
시간(I)
고정(F)
고정비율(FR)
-100점 5번에 운동화
고정간격(FI)
-월급
변동(V)
변동비율(VR)
-슬롯머신
변동간격(VI)
-불시 검문
*
행동변화 프로그램: 수업설계 처방
행동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