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

 1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
 2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2
 3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3
 4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4
 5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5
 6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6
 7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7
 8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8
 9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9
 10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0
 11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1
 12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2
 13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3
 14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4
 15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5
 16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6
 17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7
 18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8
 19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19
 20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연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 변화와 향후 한·러관계의발전방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계화와 한국의 선택
20년간 러시아 정부의 정책변화와 향후 한·러 관계의 발전 방향
目 次
1. 서론
⑴ 연구의 개요
① 연구의 목적
② 연구의 중요성
③ 연구의 제안
⑵ 러시아란
2. 본론
⑴ 탈냉전 시기의 모습들
⑵ 고르바쵸프정부의 개방정책
⑶ 옐친정부의 대외정책
⑷ 푸틴정부의 대외노선
3. 결론
⑴ 현재의 한 · 러 관계
⑵ 향후 한 · 러 관계의 발전 방향 제안
※파워포인트 및 보고서 정리
4.러시아와 관련된 상식적인 내용들
5.조원 후기
서론
⑴연구의 개요
①연구의 목적
-본 5조의 보고서에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탈냉전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양국 간의 관계정상화를 위한 빈번한 접촉과 대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지난 20년 간 러시아 정부가 지닌 한반도정책의 기본적 성격을 러시아의 대외정책 변화라는 틀 속에서 규명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러시아의 한반도정책의 변화과정을 러시아의 집권 정부의 동북아시아를 포함한 한반도에 대한 대외정책에 따라 분류하고 이와 병행하여 각각의 대외정책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러시아의 한반도 외교정책 추이에 따른 향후 한·러 관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②연구의 중요성
-한국과 러시아(舊 소련) 는 수교한지 13주년을 지나 이제 막 새로운 10년의 문턱을 넘어섰다. 한국과 러시아는 수교 이전까지만 해도 지리적으로는 인접해 있으면서도 50년대 한국전쟁 이후 상대방에 대한 적대감과 불신으로 실질적인 교류와 협력을 나누어 가질 기회를 가져보지 못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탈냉전의 분위기에 편승하여 양국 간의 관계정상화를 위한 빈번한 접촉과 대화가 이루어져 급기야는 1990년에 이르러서는 공식적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한·러 수교 초기에는 러시아가 한반도정책에 있어 편향적이라 할 만큼 일방적으로 “친(親)한국정책”을 표방하여 한국과의 협력과 우호관계 발전에 역점을 두었고 또한 한국 정부도 북방정책의 가장 주요한 상대국인 러시아(구 소련) 와의 우호관계 유지에 주력했다. 이렇듯 한국과 러시아가 양국 간의 관계발전에 전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양국관계는 한·러 수교 직후 높은 기대만큼이나 항상 원만하고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해온 것만은 아니다.
경협차관 상환문제, 98년의 외교관 맞 추방 사건, 잠수함 도입 무산, 탈북자 송환, 등 예상하지 못한 사건으로 인해 갈등과 의견이 노정 되기도 하여 결과적으로 기대만큼 발전하지 못했다. 이러한 현상은 양국 간에 긴밀한 협력기반을 다져 가는 과정에서 두 나라 사이에 입장차이와 상대방에 대한 불충분한 이해의 부족에서 연유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양국관계가 이처럼 부침을 거듭했음에도 불구하고 남북한간의 정상회담이 이루어지고 한반도에서의 냉전체제 청산과 평화정착을 위해 러시아가 중요한 중개자적 역할을 자임하여 나서고 있는 가운데 푸틴 정부 출범 직후 작년 4월 한·러 간 핫라인이 설치되고 금년 2월 서울에서의 한·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간 정치, 경제, 그리고 군사적 분야에서의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지난 20년 간의 양국관계의 부침은 돌발적인 사건의 발생에 따른 예기치 않는 결과라기보다는 근본적으로 러시아가 직면한 국내외적인 환경변화에 러시아의 동북아와 한반도에 대한 인식과 정책변화에 따른 당연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③연구의 제안
-본 보고문은 전공이 아닌 교양과목으로서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객관화된 연구는 아니지만, 참고서적과 인터넷검색을 통해 20년 간의 한·러 관계를 되돌아보고 발전적인 관계로서 한반도의 평화유지와 한·러 교류협력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⑵러시아란
①국토의 규모와 인구와 인구밀도
-면적=1707만 5400㎢
인구= 1억 4441만 7000명(2001)
인구밀도= 8.5명/㎢(2001)
정식명칭=러시아 연방(Russian Federation)
북쪽으로 북해, 동쪽으로 태평양에 면하고, 남쪽으로 북한,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그루지야, 서쪽으로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라트비아, 폴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핀란드, 노르웨이 등에 접한다.
②정치
1991년 6월- 러시아공화국의 대통령으로 당선된 옐친이 보다 급진적인 개혁을 요구하면서 고르바초프와 대립.
1991년 8월 19일- 옐친의 도움으로 보수파의 쿠데타가 저지된 후 옐친은 정치적 입지가 더욱 강화
1991년 10월- 러시아공화국의 독자적인 경제개혁을 추구할 수 있는 3개 법안을 통과시킴
1991년 12월 11개 공화국이 카자흐스탄의 수도 알마아타에서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독립국가연합) 결성을 합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