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

 1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1
 2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2
 3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3
 4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4
 5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장예모張藝謀감독의 국두菊豆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염색공장 사장인 양금산은 50이 넘은 나이에 돈을 주고 어린 신부인 국두를 들인다. 성적 불구자인 자신의 대를 잇게 하기 위해 국두에게 신체적, 정신적 폭력을 가하며 사내 아이를 낳으라고 강요한다. 이런 국두의 상처투성이 몸을 몰래 훔쳐보는 금산의 조카 양천청은 노동력을 착취당하면서도 자신을 입양해준 삼촌을 위해 열심히 일한다. 천청이 자신의 알몸을 훔쳐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국두는 처음에는 부끄러운 마음에 천청이 만들어 놓은 벽의 구멍을 막지만, 시간이 지나고 그녀는 천청이 바라보고 있는 구멍을 향해 자신의 상처 투성이 몸을 드러낸다. 국두와 천청은 곧 사랑에 빠지게 되고, 국두는 천청과의 관계로 천백을 낳고 이를 금산의 아들이라고 속인다. 후에 이 사실을 알게 된 금산은 천백을 염색통에 빠뜨려 죽이려고 하지만, 3살이 되도록 웃거나 말을 하지 않던 천백이 금산에게 아빠라고 처음으로 말을 한다. 그 순간 금산은 그 동안의 분노를 잊고 천백을 자신의 아들처럼 대한다. 어느 날 천백과 놀아주던 금산은 천백의 실수로 염색통에 빠져 죽게 되는데 그 모습을 보고 천백은 처음으로 웃는다. 금산의 죽음으로 국두와 천청도 더 이상 같은 집에서 살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그 후로도 유지되는 그들의 관계에 대해 천백은 분노를 품고 천청을 염색통에 빠뜨려 죽인다. 이 모든 것을 지켜본 국두는 모든 것을 잃은 듯한 망연자실한 표정으로 집에 불을 지른다.
#. 영화 의 특징
여성 형상화
장예모 감독의 색깔로 특징 지어진 “붉은색”이미지, 그 이미지만큼이나 강렬하게 등장하는 중국 전통의상에 “현대의식”이 덧입혀진 여성상은 감독 자신과 중국을 색채화하고 상품화한다.
중국인의 시각으로 페미니스트적인 의식과 가부장적인 현실을 수용하는 몸, 이러한 한계로 타자화된 여성형상에 초점을 맞추어 감독의 영화를 해석해 볼 수 있다.
여성 주인공 원 톱(one top) 시스템
장예모 감독의 영화들은 원작이 소설을 각색한 영화들이 많다. 각색을 하는 단계에서 장예모 감독은 원작에 등장하는 여러 명의 주인공을 한 명의 강렬한 여성주인공으로 교체 한다.
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소설 복희복희(푸시푸시)를 각색한 영화에서는 원작의 주인공인 양금산과 양천청을 여성 주인공 국두로 이미지 교체를 완성한다. 두 명의 남성 주인공을 한 명의 여성주인공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강렬한 캐릭터의 여성상의 재정립은 필수이다. 그리하여 놀랄만큼 능동적이고 적극적이며 강인한 성격의 국두가 탄생한다. 이는 영화의 시작에서부터 알 수 있다. 바로 영화의 제목이 여성 주인공 ‘국두’ 이기 때문이다. 염색 공장 주인한테 팔려온 국두는 발기불능의 남편의 모진 학대에도 비운의 운명을 숙명으로 받아들이지는 않는다. 희망이 보이지 않는 암울함속에서도 남편의 조카인 양천청이라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오히려 알게 모르게 리드하고 넌지시 유혹을 하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서슴지 않는다. 양금산이 반신불수로 드러눕게 되자 양천청과의 관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죄의식 같은 건 절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또한 국두는 양천청한테도 내연의 관계를 숨기느라 숨죽이며 살기보다는 세상에 모든걸 공개하자고 설득하고 협박하는 등 항상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다.
아버지상의 부재
영화 에서 양천백이 아버지라고 부를 수 있는 인물은 양금산과 양천청으로 두 명이다. 그러나 두 명 모두 “아버지가 아닌 아버지”들 이었다. 양금산은 “겉모습만 아버지”인 아버지였고 “실질적인 아버지”는 아니었다. 이에 반해 양천청은 “실질적인 아버지”였지만 아버지일 수 없는 아버지였다. 이러한 아버지상의 부재는 그 자체로 여성 주인공의 캐릭터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여성형상의 상징적 의미 : 자주의식을 가진 여성
중국은 건국 초기에 “부녀 해방 운동”의 기치를 높이 들고 ‘남녀 평등”을 외치며 남녀 차별이 없는 사회를 구축하기에 전력을 기울인다. 그럼에도 여성의 “성별의식”과 “자주의식”은 여전히 간과된 채 여성은 “여강자” 등 또 다른 “신분의식”이 전통 관습의 “신분의식”을 대체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성성”보다는 “혁명성”이 강조된 셈이다. 그렇게 “혁명성”에 의해 간과된 여성의 “자주의식”을 영상화 했다는 점에서 장예모 감독의 영화는 높이 평가받는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