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정체성

 1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
 2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2
 3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3
 4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4
 5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5
 6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6
 7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7
 8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8
 9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9
 10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0
 11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1
 12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2
 13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3
 14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미국에서 나고 자라 미국 영어의 원어민이 되고 미국 시민권까지 지녀서 그야말로 미국의 주인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이민 2세들이 4.29 폭동을 계기로 자신의 정체성을 비로소 깨달았다는 것은 우리로 하여금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아메리칸 드림만을 꿈꾸면서 환상에 젖어 있다가 문득 깨달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확인이 곧 그들에게는 삶이라는 현실에 대한 자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일이 우리에게는 세계화라는 단어가 지닌 참뜻을 깨우쳐 준다.
미국 시민이면서도 한국계 미국인들은 미국화가 덜 되어서 정체성을 깨닫게 되었을까? 그렇지는 않다는 대답의 자리에 세계화를 끼워 넣어 보면 세계화가 뜻하는 바가 진정 무엇인가가 명료하게 떠오른다. 미국화가 되면 될수록 자신의 정체성인 한국계가 문제되었듯이 세계화가 되면 될수록 한국인의 정체성이 중요한 의미를 띠게 된다는 것을 LA의 교훈은 시사해 준다. 세계화란 결국은 세계의 여러 공동체들이 한 마당에서 만나는 일이다. 그러기에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고 인정해야 한다. 공동체마다가 지니고 있는 정체성과 그 공동체를 복 되고 훌륭한 곳으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을 받아들여야 한다. 한국어 교육도 그런 정체성의 확보 또는 공존을 위한 것이라야 한다. 그것이 인류애 가득한 세계화의 모습이다. 생각해 보라. 올림픽에서 뛰는 선수가 자기 나라를 의식하지 않고 세계인이기만 하는 대회를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그러기에 우리말을 교육하고 세계화하는 일도 문법 이전에 우리 문화를 교육하고 우리의 공동체적 정체성을 알리고 존중받는 일일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세계화라는 구호에는 약자의 고민과 강자의 계략이 교묘하게 뒤섞여 있다는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이런 생각이 편벽되거나 국수주의적인 것이 아님을 확인하게 해 주는 것이 문화 상품의 세계화는 있지만 문화의 세계화란 없다는 쟝-피에르 바르니에(Jean-Pierre Warnier) 같은 사람의 말(주형일 옮김, 『문화의 세계화』, 한울)이다. 진정 그러하다. 장사꾼의 안목으로 바라보는 오늘은 세계가 한 마당이요 한 덩어리의 시장일 따름일 것이다. 그러나 인간과 삶의 본질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바라보면 우리는 영원히 한국인으로서 사는 것이며, 그것을 지탱해줄 기둥이 국어요, 국어가 떠받치고 있는 우리 문화다.
1.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미국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 치르는 시험인 SAT에 한국어가 정식 과목이 되었다는 소식은 들었지만, 그것이 LA폭동을 계기로 성사되었다는 배경을 확인한 것은 일종의 놀라움이고 생각의 틀을 바꾸게 하는 충격이었다. 한국어 과목이 SAT에 채택되었다기에 우리도 이제 상당히 컸구나라고만 생각했었지 그 우울했던 사건이 이런 일의 배경이 되었으리라고는 짐작도 못했기에 강렬한 깨달음을 주었다.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소수민족학을 전공하고 있는 장태한 교수는 그 배경을 이렇게 요약해 주었다.
"4.29 폭동은 멀어져 가던 이민 1세와 2세 간의 간격을 좁히고 코리안 아메리칸으로 만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소위 아이덴티티 크라이시스(identity crisis)를 겪으면서 방황하던 2세들에게 코리안 아메리칸의 긍지와 자부심을 갖게 했다. 폭동으로 부모님 세대가 얼마나 심한 인종 차별을 겪고 있으며 고생하고 있다는 것을 1.5세와 2세들은 깨닫기 시작했다. 비로소 코리안 아메리칸의 공감대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이다. 될 수만 있으면 한인 사회와 멀리 떨어져 살려고 하던 1.5세와 2세들이 커뮤니티 봉사를 자청하고, 1세와 2세가 협심하면 한인 사회의 문제를 하나 둘씩 풀어 나갈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었다.
4.29 폭동을 통해 얻은 가장 값진 수확은 한인들도 이제는 모국 지향적이고 고립된 삶에서 벗어나 다민족 사회의 일원으로 더불어 살아야 한다는 의식을 갖게 된 점이다. 미 주류 사회로의 동화가 아닌 융화를 통해 타민족과 함께 사는 지혜를 습득하려는 한인들의 기본 생활에 큰 변화가 왔다. 흑인의 역사와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한인 사회에서 일어났으며, 라틴계, 백인, 그 밖의 다른 민족과도 어울려 동참하면서 살아가야 한다는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
인식과 행동 방식이 이렇게 바뀐 것을 바탕으로 한국어에 대한 애정이 싹텄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모금 운동으로 이어져 드디어 SATⅡ의 한 과목으로 한국어가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 어, 에스파냐 어, 히브리 어, 이태리어, 라틴 어와 함께 서게 된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그런 일을 위하여 교민들이 합심해서 미국 전역에서 모금을 하는데 한국의 지원기구는 쥐꼬리만한 돈밖에 지원하지 않은 것을 재미 한인들은 지금도 못내 아쉬워하고 있었다.
미국 전역의 고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모임을 지켜보면서 그들의 열정과 노력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아직은 비록 미미한 수준이지만 장차 한국어를 채택하는 고등학교의 수가 늘어나고,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미국인이 불어나고, 거기에 효과적인 교육 방법과 열정이 더해진다면 한국어 세계화는 그런 정체성과 문화 공존을 바탕으로 한 인류애의 불길로 번져 갈 것을 확신해도 좋다고 다짐을 두었다.
2. 한국어교육의 특징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인숙(1981), 한국어와 영어모음의 조음 음성학적 비교연구, 인하대 영어교육학과 석사논문
김정은·이소영(2001), 제2 언어로서의 한국어 표준 문법, 이중언어학 19
고석주 외(2004),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오류분석, 한국문화사
안주호(1997),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이상직(1987), 한국어 악센트에 대한 재검토, 말소리 11-14호
이미혜(2003), 직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제13차 국제 학술대회 발표문, 국제 한국어 교육 학회, 국제 한국어교육 학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