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1  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1
 2  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2
 3  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3
 4  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체계적인 시기별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의 미숙아 출산율은 4.13%로 추정되고 있으며(2004년, 보건 복지부), 미숙아의 생존율은 의료기술의 발달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미숙아란 세계보건기구의 결의로 출생 시 체중이 2.5kg미만, 제태기간 37주 미만인 경우의 신생아를 말한다. 보통 건강한 아기의 탄생은 대부분의 부모들에게 긍정적인 사건이지만 미숙아를 출산하여 아기가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되는 경우 부모들은 많은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특히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는 모성으로의 전환기에 있는 산욕기 산모로서의 자존심 상실, 죄책감, 내적 열등감을 경험하게 되는 등 부정적인 스트레스를 가질 수 있어 이에 대한 간호중재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간호사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입원해 있는 동안 주로 미숙아의 생명유지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간호하며, 미숙아 어머니에게는 퇴원 시 최소한의 양육기술만을 교육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미숙아의 어머니는 지식 부족으로 인한 자신감 결여를 가지게 되고 입원동안 아기의 성장에 참여자의 입장이 아닌 관찰자적 입장으로 있게 되어 모성 역할 획득에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될 수 있다.(Kwon, M. K. 1998; Lee, J. H.1994) 또한 미숙아들은 퇴원 후 에도 다양한 건강 문제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퇴원 후 재입원율이 높아 미숙아의 어머니의 부모역할이 미숙아의 정상 발달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 (Han, k. j.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퇴원 시 간단히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닌, 시기별로 모성역할 자신감을 향상 시키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미숙아 어머니들의 모성역할 자신감 획득을 위한 시기별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3. 용어의 정의
1) 미숙아
미숙아는 제태기간이 37주미만의 조기 출생아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제태기간이 37주 미만이며, 출생 시 체중이 2500gm 미만인 영아를 말한다.
2) 모성역할 자신감
모성역할 자신감의 이론적 정의는 어머니역할 획득의 실증적 지표로서 모성기 발달 과업의 대처능력에 대해 어머니 스스로가 지각하고 있는 자기효능감을 의미한다.(Mercer, 1981). 즉 어머니가 지각하는 자신의 아기를 돌보고 이해하는 능력에 대해 어머니가 지각하는 정도를 뜻한다.(Zahr, 1993) 본 연구에서는 Wolke와 St. James-Roberts(1987)가 개발한 Mother And Baby Scales에서 요인 분석된 Lack of Confidence in Caretaking 13문항을 임혜경이 번역한 영아 돌보기 자신감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Ⅱ. 문 헌 고 찰
1.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구복남(2001).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역할 자신감과 간호교육요구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권미경, 한경자(1991). 미숙아 어머니와 만삭아 어머니의 모아상호작용과 모성 정체감 인지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1(1),79-88.
민혜숙, 손민정(2004). 미숙아 어머니의 출산 후 시간경과에 따른 스트레스 양상의 변화. 대한간호학회지. 34(7),1265-1276.
신현정(2004).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의 상황의미와 모성 자존감, 대한간호학회지. 34(1),93-101
이인혜(1999). 사회적지지 중재가 미숙아 어머니의 정서와 모성 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영숙(2004). 워크북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모성역할 자신감, 모유수유실천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남 대학교 대학원.
최선정(2000). 퇴원시 저출생 체중아 어머니와 퇴원 한달후 저출생 체중아 어머니의 간호 교육요구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