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

 1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1
 2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2
 3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3
 4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4
 5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5
 6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6
 7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7
 8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8
 9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9
 10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10
 11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11
 12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교육의 이론과 수업 불교사상과 도덕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불교 가르침의 핵심은 ‘연기설’과 ‘사성제’이다. 연기설은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하면 저것이 생하고,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면 저것이 멸한다”는 상호의존적 인과의 법칙이다. 사성제는 부처님이 내관했던 연기의 교설을 수행자의 실천에 중점을 두고 설한 것으로, 고,집,멸,도의 네가지 진리를 말한다. 고와 집은 각각 무명의 결과이고 원인인 생사윤회의 인과이고, 멸과 도는 각각 깨달음의 원인과 결과인데 인생의 해탈과 그 경계를 실현하기 위한 열반의 인과이다.
사성제 중 고성제는 사성제 중 가장 중심이 되는 진리인데, 불교 인생관의 이론적 기초로, 모든 중생의 생명, 생존이라는 의미이다. 집성제는 고가 어떻게 발생하고 성립되는지 그 근본을 밝히는 것인데, 모든 번뇌의 근본인 갈애로부터 일어난다. 갈애는 무명에 의해서 발생한다. 멸성제는 불교의 이상경으로서 삼법인에서는 열반적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무명이 사라져서 번뇌가 소멸해진 것이다. 이 경지에 도달한 사람은 아라한, 불타라 하며 이는 해탈이다. 도성제는 고를 소멸시키고 열반을 얻기 위한 올바른 길이다. 그 내용은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이라는 팔정도이다. 이 팔정도의 실현을 통하여 열반이 실현된다.
2. 불교 교육의 목적
도덕적 삶의 핵심은 얼마나 이타적인 삶을 사느냐에 달려 있다. 불교는 바로 이러한 도덕 교육의 관심을 진여와 상념이라는 두 측면에서 보고 있다. 불교에서의 도덕 교육의 목적은 진여의 실현이다. 진여는 누구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더하거나 덜함이 없고, 항구여일한 본성인데, 처음부터 모든 훌륭한 공덕을 완전히 가지고 있다.
3.진여에 도달하기 위한 방편들
(1) 이 세상의 모든 이치는 나의 것은 없다는 것이다.
불교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은 제법무아이다. 제법무아에서 아란 ‘주체’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책상은 여러 가지 물체가 합쳐져서 책상의 물체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그 책상의 각 부분들은 아무런 ‘주체’가 없으며 결국은 허물어져서 공이 된다. 우리 마음의 집착도 마찬가지로 욕심을 부려서 온갖 것을 만들어내지만 그런 것을 만들어내는 아 역시 결국은 공이 된다. 그런데도 그런 허망한 것에 집착하는 것이다. 우리 마음이 진여가 되기 위해서는 모든 집착하는 상을 없애야 한다. 상을 없앤다는 마음 마저도 없애야 한다. 컵에 흙탕물이 있을 때에 아무것도 물속에 비치지 않는다. 그러나 그 흙탕물을 가라앉히면 맑은 물이 고이게 된다. 그러나 그 물이 요동치면 다시 흙탕물이 된다. 흙탕물을 완전히 없애려면 컵 자체를 깨버려야 한다. 우리 마음도 이와 같아서 아무리 노력해도 이런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번뇌를 벗어나려면 나를 깨뜨려 없애야 한다. 이때의 마음이 진여이고, 그 경지가 열반이며 해탈이다.
(2)진여 훈습을 통하여 진여를 방해하는 망념을 걷어내어야 한다.
훈습은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란 뜻으로, 망심으로 영향을 주면 마음은 그 자체의 본성에 믿음을 가지게 된다. 마음은 눈앞의 사물과 현상이 마음의 헛된 움직임이라는 것을 알고 그것을 점점 초월하게 된다. 이렇게 모든 집착과 상념을 끊어버려 무명이 사라졌을 때 마음의 양상이 자취를 감추게 되는데 이것을 ‘열반에 들어간다’고 한다.
(3)수행을 통하여 더러워진 마음을 닦으면 깨끗한 진여가 드러난다.
마음을 완전히 비우고, 반야바라밀을 행함에 있어서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의 육바라밀을 실천할 때 진여가 실현된다. 사람의 마음은 그대로 진여이지만 허망한 생각을 갖고 있는 이유는 우리의 마음을 망념과 망집이 덮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행을 통하여 탐진치의 3독으로 더러워진 우리의 마음을 닦고 닦으면 원래의 깨끗한 본성을 되찾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