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

 1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
 2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2
 3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3
 4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4
 5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5
 6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6
 7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7
 8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8
 9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9
 10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0
 11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1
 12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2
 13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3
 14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4
 15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5
 16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6
 17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에 나타난(한)恨과 비판적 수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恨)의 정의
1) 학자들의 견해
(1) 김열규
(2) 문순태
(3) 이어령
(4) 한완상․김성기
2) 한에 대한 정의
3. 한(恨)의 연구 시작
1) 한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시작
2) 1920년대 한과 한국 문화의 경향
4. 우리나라 문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한(恨)
1) 전통문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한
(1) 고전시가
(2) 민요
(3) 판소리
2) 근․현대 대중문화에 나타난 한국인의 한
(1) 대중가요
(2) 영화
(3) 문학
5. 한(恨)의 문제점
1) 외부적 영향(일제식민사관)의 문제
2) 내면화의 문제
6. 나오며
본문내용
우리는 한(恨)이라는 말을 자주 들으며 생활한다.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속담에서 알 수 있듯이, 한 맺히고 한을 푼다는 말은 우리 생활에서 빈번하게 쓰인다. 황조가에서부터 가시리, 진달래꽃, 귀촉도에 이르기까지 학창시절 국어시간에 많이 듣는 단어 중 한 가지가 ‘이별의 한’이다. 또 아리랑과 같은 전통 민요에서부터, 레코드가게 앞에서 들려오는 최신 가요들에 이르기까지 많은 노래들이 사랑과 이별을 다루면서 한을 노래한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통의 춤사위나 전통 문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한이라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우리 문화는 한으로 정의 내려지고 혹자는 그것을 ‘한의 미학’이라고까지 이름 붙이면서 한국 전통의 정서라고 믿고 있다. 그런데 이 한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었을까. 또한 이러한 한의 감정은 우리 민족 정서를 가장 잘 반영하는 민족 정서라고 할 수 있을까.
이에 한의 정의와 함께, 한국 문화에 나타난 한의 모습과 한이 어떻게 학제적으로 연구되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한이라는 정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반성하고 한의 비판적 수용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 고정옥, 『조선 민요 연구』, 동문선, 1998.
■ 김열규, 『원한(怨恨), 그 짙은 안개』, 범문출판사, 1980.
■ 김열규, 『한국인 우리들은 누구인가?』, 자유문학사, 1986.
■ 김용석&이재민&표정훈 엮음,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휴머니스트, 2003.
■ 김진, 「한(恨)이란 무엇인가?」, 『한의 학제적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4.
■ 김헌선, 「한국예술의 미학적 범주 : 멋, 흥, 풍류, 신명」, 고전문학회 제210차 발표문, 2000.
■ 문순태, 「恨이란 무엇인가?」, 『恨의 이야기』, 보리, 1987.
■ 박경수.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1998.
■ 백상창, 『恨과 한국 病』, 한국사회병리연구소, 1993.
■ 서광선 엮음, 「恨에 대한 민중사회학적 시론」, 『恨의 이야기』, 보리, 1988.
■ 서남동, 『民衆神學의 探求』, 한길사, 1983.
■ 이규태, 『한국인의 정서구조1․2』, 신원문화사, 1994.
■ 이어령, 중앙일보, 1982-09-22. 「한(恨)과 원(怨)」, 천이두, 「한의 구조 연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