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

 1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1
 2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2
 3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3
 4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4
 5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5
 6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6
 7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7
 8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8
 9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9
 10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10
 11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11
 12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마돈나 뮤직비디오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피스크의 마돈나 뮤직 비디오 분석

페미니즘 이론을 통해서 마돈나 다시 보기

논의를 마치며
본문내용
피스크의 마돈나 뮤직 비디오 분석

피스크는 먼저 "대중(the people)" 개념의 정의로부터 출발하는데, 대중이란 사회적인 이해관계를 지닌 행위자라고 한다. 사회적 행위자라는 개념은 자본주의 사회에 사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행위권을 갖고 있음을, 즉 자신의 사회적 이익에 대해 자각할 수 있는 능력을 함의한다. "대중들은 '문화적 바보'가 아니다; 그들은 아무런 식별 능력이 없는, 따라서 문화 산업의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처분에 놀아나는 수동적이고 무기력한 대중이 아니다."[TC,309] 따라서 피스크는 주체성에 대한 보다 최근의 이론으로서 분열되고 모순적인 주체를 강조하는 주체성에 대한 유목민(the nomadic) 이론을 제시한다.

복잡하고 고도로 정교화된 사회 구조 내에서 일상 생활의 문제를 타협해야만 하는 필연성은 이러한 격자(grid)를 옮겨 다닐 수 있는 유목민적인 주체성을 산출하여왔다. 이들은 시기의 필연성에 따라 서로 다른 민중 구성체 속으로 그들의 사회적 동맹을 재연대할 수 있다.[UP,24]

그런데 모든 사회적 동맹은 권력 구조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이는 "누구와 함께 하느냐(with whom)"의 감각뿐만 아니라 "누구와 적대하느냐(against whom)"의 감각을 지녀야 한다. 대립성의 감각, 즉 차이의 감각이 유사성이나 계급 정체성의 감각보다 더 결정적이다. 왜냐하면 고도로 발전된 사회 속에서의 대중들의 특성인 유동성을 산출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적대성의 공유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중들의 다양한 구성체들은 종속된 주체가 아니라 사회적 범주들을 넘나드는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움직이며, 대안적이건 동시적이건 간에 명백하게 모순적인 입장들을
참고문헌
J. Fiske, Television Culture, Routledge, 1987.
J. Fiske,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Boston, 1989.
J. Fiske, "포스트모더니즘과 텔레비젼", in J. Curran & M. Gurevitch(eds.), 『현대 언론과 사회』, 나남 1993.
J. Fiske, "영국 문화 연구와 텔레비젼", in J. Story(eds.), 『문화 연구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J. Fiske, "팬덤의 문화 경제학", in 박명진 외, 『문화, 일상, 대중;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1996
J. Fiske, "Cultural Studies and the Culture of Everyday Life", in L. Grossberg, C. Nelson & P. Treicher(eds.), Cultural Studies, Routledge, 1992.
J. Fiske, "MTV: Post-Structual Post-Modern", Journal of Communication Inquiry 10,
M. Ferguson & P. Golding, Cultural Studies in Question, Sage, 1997.
J. D. Brown & L. Schulze, "The Effects of Race, Gender, and Fandom on Audience Interpretations of Madonna's Music Video", Journal of Communication 40, 1990.
C. Freccero, "Our Lady of Madonna: Madonna's 'Like a Prayer'", in Feminism and Postmodernism.
T. de Rauretis, "Rethinking Women's Cinema: Aesthetics and Feminism", in Film and Theory
J. Curran, D. 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