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

 1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1
 2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2
 3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3
 4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4
 5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5
 6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6
 7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7
 8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과정 사회학 Criteria and Validity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는 학습자들이 얼마나 잘 문맥에 맞게 수행과제를 잘 다루는 지를 봐야하며 무엇이 그들의 사고과정을 이끌어 가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The need for criteria(172쪽)
결과가 열려있는 이행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수행과제의 종류들은 단 한가지나 정답, 해결과정을 갖지 않기 때문에, 학생 작품의 평가는 기준에 의해 안내된 판결에 기본을 둔다. 분명하고 적절한 기준은 학생들의 이해정도를 규정하도록 하며, 그것은 지속적이고 공정한 판결을 하도록 한다. 그럼 어떻게 적절한 기준을 세우고 어떻게 그것들을 학습자들에게 분명하게 제시할까?
적절한 기준은 주어진 목표인 작품의 가장 두드러지고 중요한 면을 강조하지, 보기편하고 점수 주기 편한 작품의 부분을 다루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어 책을 읽을 때, 우리가 그것에 관계하며(자신과 관련지으며) 읽을 때, 상상은 일어나고, 관심이 폭발하는 것이다. 최고의 이야기는 우리의 이런 관심을 효과적인 구성과 인물의 연결을 통해 이어지게 한다. 그래서 이야기를 판단하는 중요 기준은 관련성(이야기의 몰입정도)이며, 또다른 것은 효과적인 문학적 장치를 이용하고 언어적 장치를 이용하는 작가의 솜씨이다. 마지막 하나는 인물의 발달의 깊이와 신빙성과 관련이 있다. 이야기의 기준은 임의적이지 않다. 모든 책은 관련되어야 하고, 잘 만들어져야 하고 잘 발달되고 신빙성 있는 인물로 이루어져야 한다.
비록 이 세 기준이 관련되어 있지만, 또한 독립적이다.
이야기는 만화적 인물에도 불구하고 읽게 할 수 있고, 열심히 읽게 하지만, 구성에 틈이 있고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기준을 규정할 때, 질의 판단에 영향을 주는 수행의 독립적인 변수들을 분명히 해야한다. 그래서 기준은 어떤 수행이 성공적인 상태를 상세히 해야 하며, 수행과제에 필요한 것을 조작적으로 규정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이 수행이나 그것의 목적의 중심에 있는 것이 아닌 주로 보기 편한 기준에 의지하는 실수를 한다. 그래서 주로 잘 작성된 보고서 보다 양이 많고 다양한 것에 높은 점수를 준다. 또는 과정 대신에 말이 위트가 있거나 정확한 정보가 제공된 것보다는 칼라풀하고 창조적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결된 것에 높은 점수를 준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목표나 이해로부터 나온 평가를 이끌어 내야 하며, 목표로부터 나온 기준을 이끌어 내야 하는 것이다.
From criteria to rubric(173쪽)
규정은 고정된 측정 크기(4점, 6점과같이)로 구성된 기준에 기본을 둔 점수 가이드이다. 그리고 그것은 각 점수의 특성에 대한 설명이다. 규정은 질, 능숙도, 지속적으로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도를 표기한 것이다.(만약 평가가 yes/no, right/wrong 의 반응을 요구하면 이것 대신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면 된다.)
규정은 다음 질문에 답을 준다
- 어떤 기준에 의해 수행결과가 평가되고 판단되어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