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

 1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1
 2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2
 3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3
 4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4
 5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5
 6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6
 7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7
 8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8
 9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9
 10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10
 11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11
 12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교과서 개발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 중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고 교육의 주체인 교사들이 교과서를 재구성 하고 교과서를 개발할 때 중요한 지침이 되는 문서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개정은 다양한 요구를 반영해서 이루어진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초등 사회과 측면에서의 변화는 초등 역사 영역 교육과정이 역사 교육 강화 방침에 따라 사회과 교육과정과 별도로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역사 영역이 지리, 일반사회 영역과 분리되어 5~6학년 교육과정에서 【지리일반사회 영역】, 【역사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서 역사 영역은 5~6학년에 걸쳐 6개의 단원이 연대기적 흐름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기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을 연대기적으로 5학년 1년에 국한하여 구성하였으나,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5~6학년 2년에 걸쳐 구성하였다. 그러나 2개 학년에 걸쳐 연대기적으로 조직된 역사 영역의 내용을 어떻게 나눌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안내하지 않고 있어 개발될 교과서의 내용 조직에 따라 내용 배열 특징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 집필자가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해서 교과서를 개발하는가가 중요한 관건이다.
사회과 교육과정은 사회과의 교육 목표를 제시하고 사회과에서 다루어야 할 기본 지식이나 기능, 태도,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등 일반적인 사회과 교육의 기본을 정해놓은 체계라 할 수 있다. 좋은 사회과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성취기준에 주요 학습 내용과 방법, 평가 관련 사항 등을 명시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잘 담아야 한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과서 개발이나 학교 수업에 가장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사회과 교육과정이 만들어진다고 해도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그 내용이 충분히 이해되고 반영되지 못한다면 교육과정의 의의와 가치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홍미화, 2011: 127)
현행 초등 사회 교과서의 개발은 국가가 기준으로 정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내용을 학습하도록 계획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교과서 개발에 관한 사업은 국가에서 철저히 관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공통교육과정의 바탕이 되는 까닭에 국가에서 인정하는 국정체제를 유지해 오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 교과서 개발도 이러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의 지나친 학습 부담을 감축하고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며, 학습 능력 및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개정되었다. 특히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5학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던 역사 영역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5학년 2학기(56학년군 )와 6학년 1학기(56학년군 )로 분산된 점은 사회과를 지도하는 데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지하듯이 현장의 초등 교사 대부분은 교과서를 주요 학습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초등 사회과의 역사 영역도 역사 교육과정을 직접 가르치기보다는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를 가르친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변화보다는 교과서의 변화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가 어떻게 교육과정을 담고 있느냐는 실로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교과서 집필자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서 교과서로 집필되는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초등 사회 교과서 집필자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처럼 교과서 개발과정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구가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로는 교과서 집필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인식을 하기 어렵다는 점, 교과서 집필이 비교적 소수의 인원이 참여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과정이라 연구대상자 선정이 어렵다는 점, 연구의 특성상 연구대상자의 생각이 그대로 드러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이 필요하다는 점 등으로 생각된다. 연구자 또한 2007 개정 초등 사회교과서 역사 영역 집필에 참여하면서 문제의식을 느꼈기에 이와 같은 연구주제 선정이 가능했다고 여겨진다.
이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2009 개정 초등 사회 교과서 역사 영역에서 교사 집필자들의 교육과정 분석 양상과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나 쟁점의 분석을 통해 향후 교과서 집필과 관련해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 교사 집필자들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사 집필자들이 어떻게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교과서를 집필하는지, 교과서 집필과정에서 교사 집필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 교과서 집필과정에서 제기된 문제나 쟁점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떠한 방식으로 해결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과 초등 사회 교과서와의 관계, 교육과정과 교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적 사례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방법 등에 대한 개요를 기술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2009 개정 초등 사회교과서 역사 영역 집필에 참여한 집필 사례를 토대로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집필자의 분석과 이해, 교사 집필자가 겪는 어려움 등을 기술할 것이다. Ⅴ장에서는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생겨난 교사 집필자의 집필 사례 분석 결과와 관련해서 취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Ⅵ장에서 제언을 통해 글을 맺고자 한다.
Ⅱ.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1. 초등 사회 교과서와 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넓게 보면 사회과와 관련하여 학생이 학교에서 얻는 모든 경험이라고 할 수 있고, 좁게 보면 사회과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를 아우르는 국가 수준의 문서를 가리킨다(차경수 외, 2008: 83-84). 따라서 사회과 교육과정은 교과서는 물론 사회과의 수업까지도 규정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는 역사 영역과 관련된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교과서로 편찬되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교육과정이 어떻게 교과서 체제 및 내용 구성에 미치는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사회과 역사 영역의 교과서가 보급되지 않았기에 5학년 2학기 실험본 교과서를 참고 자료로 분석하였다.
2009 개정에 의한 사회교과서 56학년군 내용 구성
참고문헌
참고 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서울: 교육부.
교육부(2012). 사회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김대현(2011).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관심 분석. 교육과정연구, 29(2), pp.121-143.
김명정(2012). 사회과 교과서 발행 제도의 개선 방안
김영석(2007).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와 개선 방향. 사회과교육연구, 14(2), pp.1-13.
김현미(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사회과 교육과정 적용 관련 쟁점: 초중학교 교사의 지원 요구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하계 학술대회.
박미란(2012). 역사 교과서 교사 집필자의 역할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고려대석사학위논문.
박민정(2012).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내러티브 분석. 교육과정연구, 30(3), pp.247-270.
박영석(2008).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초등 사회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초등교 교사들의 사회 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7(3), pp.35-60.
박용조 외(2007). 초등 사회과 현장 수업의 한일 비교 분석을 통한 사회과 수업 방법의 혁신방안. 사회과교육연구, 14(4), pp.183-212.
박인옥 외(2000). 제7차 사회과 교과서 편찬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편찬 참여자들의 교육과정 인식을 중심으로.
방지원(2009). 2007년 개정 역사 교육과정의 교재관과 교과서 개발
서재천(2003). 제7차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견과 그에 대한 논의. 사회과교육, 42(3), pp.23-48.
설규주(2007). 초등 사회과 수업의 패턴 고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사회과 교사와 교생의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6(4), pp.59-90.
설규주(2012). 사회 교과서 집필 과정을 통해 바라본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미래-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설규주(2012).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한계를 고려한 컨설팅의 방향. 사회과교육, 51(1), pp.65-89.
소경희(2003).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초등학교 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21(1), pp.129-153.
양정현(2007). 교과서 구성에 대한 敎育課程과 교과서 발행 제도의 규정성-7차 역사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혁규(2000).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최정순설규주(2014).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3(2), pp.1-19.
채동현 외(2011). 5,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어려움과 대처 방법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홍미화(2010). 초등 사회과 수업 전문성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pp.599-618.
홍미화(2011).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 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8(2), pp.125-142.
홍미화(2012). 초등교사의 사회과 교실 수업 구성에 대한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19(2), pp. 83-97.
홍미화, 곽혜송(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사회교과서 개발의 난제와 대안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