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

 1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
 2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2
 3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3
 4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4
 5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5
 6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6
 7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7
 8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8
 9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9
 10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0
 11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1
 12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2
 13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3
 14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4
 15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5
 16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6
 17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7
 18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8
 19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19
 20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화 속에 나타난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사료로써 영화는 가능한가

III. 예수는 누구인가?

IV. 영화 속의 예수
1. 왕중왕 (The King Of Kings) - 1927년
2. 왕중왕 (King Of Kings) - 1961년
3. 마태복음 - 1964년
4. 위대한 생애(Greatest Story Ever Told) - 1965년
5. 지저스 크라이스트 슈퍼스타 - 1973년
6. 나자렛 예수 (Jesus of Nazareth) - 1977년
7.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 1988년
8. 몬트리올 예수 (Jesus Of Montreal) - 1989년
9. 소년 예수 (A Child Called Jeing) - 1989년
10. 쥬다스 (The Judas Project) - 1993년
11. 가든 오브 에덴 (The Garden Of Eden) - 1998년

V. 시대별 예수상의 변화 양상과 그 원인에 대한 고찰
⑴ 시대별 예수상의 변화 양상
⑵ 영화 속에서 예수상이 변화하고 있는 원인에 대한 고찰

V. 결론
본문내용
이 연구에서는 영화를 사료로 이용하여 과거의 사람들이 예수라는 주제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었는가를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밝혀 보려고 한다. 우선 영화가 “사료”로서 얼마나 유효한 가치를
가지는 가를 살펴봐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르크 페로는 ‘1960년대 초만 하더라도 영화를 문서로 파악하여 연구하고, 그럼으로써 사회를 분석하겠다는 생각은 대학 사회에 소동을 일으키기에 충분’ Marc ferro, Cinema et Histoire, 역사와 영화, 주경철 옮김, 까치, 1999, p9
했지만, 영화는 더이상 '오락물'로만 존재하지 않고 다큐멘터리이든, 극영화이든간에 역사가들에게 귀중한 사료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영화가 사회에 대해 기록하고 증언기 때문에 영화를 역사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일 수 있으며, 역사와 영화 사이의 관계들을 밝혀냄으로써 과거와 현재 사회를 들여다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대사와 음악의 힘 같은 후광을 넘어서서 이미지를 ‘꿰뚫어보고 비교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사료로서 영화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영화는 일종의 “반(反)역사 (contre-histoire)” 혹은 비공식 역사의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한다. 연구의 사료라는 객체에서 한발 더 나아가 공식 역사의 대척점에서 활동하면서 대중의 의식 형성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영화가 역사의 한 주체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크페로의 주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목창균,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던 신학〉, 《서울신학대학교 교수논문집》 9, 서울신학대학교
이효인, 《영화 이야기 주머니》, 녹두, 1993,
서광선,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 운동〉,《기독교사상》, 기독교 사상, 1993년 4월
편집부, 《NIV 한영해설성경》, 성서원, 2004
D. Romanowski. William, 《대중문화 전쟁》, 신국원 옮김, 예영커뮤니케이션, 2001
Ferro. Marc, 《역사와 영화》, 주경철 옮김, 까치, 1999
Hayward. Susan ,《영화사전-이론과 비평》, 이영기 옮김, 한나래, 1997

무비스트 http://www.movist.com
씨네21 http://www.cine21.co.kr
필름2.0 http://www.film2.co.kr
엔키노 http://www.nkino.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