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

 1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
 2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2
 3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3
 4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4
 5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5
 6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6
 7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7
 8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8
 9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9
 10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0
 11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1
 12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2
 13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3
 14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4
 15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5
 16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6
 17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7
 18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8
 19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19
 20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정서법] 북한의 어문규정 및 언어생활에 대한 이해와 민족어 통일 방안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1.1. 연구배경
1.1.2. 연구목적
1 .2. 연구내용과 방법 및 기대효과
1.2.1. 연구내용과 방법
1.2.2. 기대효과

2. 본론
2.1. 남북한 맞춤법 개정 과정과 언어정책
2.1.1. 북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2.1.2. 남한의 맞춤법 개정 과정
2.2. 남북한의 언어 정책
2.2.1. 북한의 언어 정책
2.2.2. 남한의 언어 정책
2.2.3. 남북한의 국어정책 추진기관
2.3. 북한의 어문규정 특징
2.3.1. 남북한 맞춤법 비교
2.3.2. 띄어쓰기 비교
2.3.3. 발음법 비교
2.3.4. 문장부호법
2.4. 우리말과 북한말의 차이
2.4.1. 사회특성
2.4.1.1. 체제차이에서 비롯된 특징
2.4.1.2. 사회특성상 생소한 어휘
2.4.2. 소리차이
2.4.2.1. 구개음화의 차이
2.4.2.2. 전설모음화
2.4.3. 문법 차이
2.4.3.1. 조어법의 차이
2.4.3.2. 특수 구문
2.4.3.3. 의성어와 의태어
2.4.4. 말 다듬기에 의한 차이
2.4.4.1. 북한의 한자어 변화
2.4.4.2. 북한의 외래어 다듬기
2.4.4.3. 고유어
2.4.4.4. 문화어 속에 포함된 방언
2.5. 남북한 언어 이질화 극복 방안
2.5.1. 과거에서 지금까지 이루어진 노력들
2.5.2. 남북한 양측에서 시도되고 있는 방안들
2.5.3. 다른 나라의 경우를 살펴보기
2.5.4. 조원 각자의 생각 및 견해

3. 결론
3.1. 남북한 언어 통일의 필연성
3.2. 남북한 언어 통일의 파급효과에 대한 예견

부록
참고문헌

본문내용
1945년 해방 이후 남북한은 서로 다른 정치ㆍ사회 환경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언어에 있어서 이질화가 진행되었다. 특히, 각 사회체제에 따른 언어정책의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해졌다. 그러나 2000년 6월 15일‘남북공동선언문’ 발표는 그동안 긴장관계에 있던 남북한에 화해의 분위기를 가져다주었다. 6․15남북공동선언 이후, 남북한의 교류가 지금과 같이 활발하게 진행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러한 여세를 모아 남북 간 어문규정을 분석하여 서로 비교해 보고 이질화 된 민족어의 통일 방안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남한에서는 1933년이래 55년 동안에 일어난 말의 변화를 검토하여 이미 변해버린 어휘나 발음 등을 정리하고, 1988년 개정된 ’한글 맞춤법 표준발음법’에서는 관용법에 따라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변화는 옛날 것과 새 것, 두 가지를 다 표준어를 삼도록 함으로서 말의 변화에 따라 글을 정리하였다. 반면에 북한에서는 1933년의 ‘통일안’을 해방 이후까지 사용해 오다가 1949년에 한자 폐지를 하고 한글 전용을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최초의 일대 변혁이 일어나게 된다. 1953년에는 ‘조선어 철자법’이 나오면서 이미 변화된 말뿐 아니라 새로운 기호(‘사이표’)까지 제정해 처방적 언어정책이 본격적으로 실시되기에 이른다. 1966년에는 「조선말 규범집」이라 하여 사회주의 언어관의 농도가 짙어지고 평양말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어’라는 새로운 주체사상적 개념의 어휘까지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남북한의 언어정책의 변화는 더 많은 언어변화의 결과를 초래했고 이는 남북한의 언어이질화를 가속화 시켰다. 특히, 분단 이후에도 남한이 여전히 국한문 혼용정책을 유지하면서 관용법에 따라 언어통제를 해 온 것과 반대로 북한에서는 그들의 주체사상을 언어에 유착시키는 등, 인위적이고 처방적인 언어정책을 펴왔다. 이러한 북한의 언어정책은 강력한 중앙 정부 차원에서 단시일 내에 보급하여 혁명적인 언어변화의 가속화가 진행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남북한 맞춤법 개정 과정과 언어정책】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문규정집』, 1998
어학 연구부, 남북한 《맞춤법》 비교연구

【남북한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연구원 요람 (p.36~p.39)』, 2000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언어정책』, 1992
문화관광부,『국어 정책 자료집(p.33~p.35)』, 1998
최용기,『남북한 국어 정책 변천사 연구』, 단국대학교 국어학 박사논문, 2002

【북한의 어문규정 특징】
고영근,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989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언어정책』, 1992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문규정집』, 1998
김민수, 『북한의국어연구』, 일조각, 1992
김응모, 『통일대비남북한어이해』, 세종출판사, 1999
어학 연구부, 남북한 《맞춤법》 비교연구
이광호, 『국어정서법』,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8
조오현, 박동근, 김용경 공저, 『남북한 언어의 이해』, 역락, 2002
조재수, 『 남북한말 사전』, 한겨레신문사
천양철, 『북한어휘사전』, 연합뉴스, 2002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