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

 1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1
 2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2
 3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3
 4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4
 5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5
 6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6
 7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7
 8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형태와 그 실현을 위한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융복합 개념 및 사회과와 융복합 교육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에게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여 사회과 융합 교육의 형태와 실현을 위한 과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융복합 교육의 방식과 관련해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교과 간 경계 설정 문제, 내용과 사고(력)의 결합 문제, 융복합 방식에서 교사와 학생 요인 문제 등이 있었다.
또한 사회과 융복합 교육 실현을 위해 교사의 자질, 융복합 교육에 대한 평가의 형태, 융복합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 환경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 개념이 통합 개념에 비해 명확성, 유용성이 있음을 언급하였으며 융복합 교육의 형태를 교과 간 내용 결합 수준 측면에서 다학문적, 간학문적, 초학문적 융복합으로 구분할 수 있고 기능을 중심으로 융복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의 융복합의 장점과 융복합 교육에서 교사의 전공성 결여와 전이 문제에 대한 분석 의의를 밝혔으며 융복합 교육 실현을 위한 제도적 환경이 마련될 필요성도 지적하였다.
Ⅰ. 서론
사회과 급변하고 지식에 대한 접근에서 구성적 유연성이 강조되는 오늘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들 중의 하나가 융복합 교육이다. 사회과는 교과의 목표인 시민성 자체가 다양한 부분에서 요구되는 종합적인 자질을 의미하기 때문에 교과 내용 구성에서도 통합이 강조되어 왔다. 다양한 사회 현상들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 얽혀 있기 때문에 사회과 학습에서도 통합 혹은 융복합적 접근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사회과에서 통합 혹은 융복합은 당위적으로는 강조되어 왔지만 실행 측면에서는 역사, 지리와 같은 분과 영역의 의견 등으로 교과 내적으로도 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다른 교과와의 융복합 시도는 과학 등 다른 교과에서만큼 진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의 융복합 교육 실천 사례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융복합 교육이 어떤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실현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융복합 교육이 정책적으로 강조되어도 필요성이나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공감이 없으면 현장에 뿌리내리기 어렵다. 또한 융복합 교육이 실제로 어떻게 실천되는지 혹은 실천되지 않는지, 시도나 실천 과정에서 교사들이 부딪치는 문제 등을 파악해야 융복합 교육의 방향을 잡을 수 있으므로 연구는 교사들의 융복합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탐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교사들의 융복합 교육에 대한 경험과 이해를 연구하는 방법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이다. 이는 선택된 주제를 경험한 참여자들의 대화를 통해 자료를 창출하는 연구 방법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주제를 연구하고 새로운 시각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와 사람들이 어떻게, 왜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지를 해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융복합 교육관련 논의의 경향과 융복합 교육과 사회교육의 관련성, 3장에서는 사회과 교사들의 융복합 교육 형태와 실현 과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 4장에서는 분석 결과, 5장에서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하여 6장에서 결론과 시사점을 밝혔다.
Ⅱ. 사회과와 융복합 교육
1. 융복합 교육관련 논의의 경향
* 이 연구에서 정의한 융복합의 의미 : ‘다양한 수준의 교과 간 결합 상태’
‘융복합’은 융합과 복합을 아우르는 말로 ‘융합’은 학문 간 혹은 교과 간의 결합에서 교과의 특징들이 하나로 녹아들어 합쳐지는 현상을 말한다. ‘복합’은 학문 간 혹은 교과 간 결합이 이루어지지만 기존 교과의 특징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융합’과 ‘복합’은 ‘융복합’의 수준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복합’이 ‘융합’보다 더 높은 수준의 결합 상태를 뜻한다. 또한 ‘교과 간 결합’이라는 표현은 융복합의 대상이 교과(학문)이라는 뜻이다. 동일 교과 내 영역 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본 연구의 융복합 논의의 초점이 아니다.
분과적이고 파편적인 지식으로는 복잡해져가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기 때문에 융복합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융복합 교육의 형태는 과학을 중심으로 STS 교육, MST 교육, STEM 교육 등으로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STEAM 교육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STEAM 교육은 정부의 과학기술인재 양성 차원에서 ‘융합 인재교육’으로 추진되었다. 박현주(2012)는 한국의 STEAM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향 중 하나가 과학 기술 지식을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과학적 이해를 근거로 합리적, 창의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며 과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으로 보았다. 김진수(2012)도 과학이나 기술이 아닌 미술, 음악, 체육, 역사, 국어, 사회 등 예술 교과가 중심이 되는 A-STEAM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STEAM 등 융복합 교육에서 사회과의 중요성이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