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주도 및 성취목표고등학교 시기의 미래 목표 설정 이대학 시기 의자 기결정성과인 지조 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1  자기 주도 및 성취목표고등학교 시기의 미래 목표 설정 이대학 시기 의자 기결정성과인 지조 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1
 2  자기 주도 및 성취목표고등학교 시기의 미래 목표 설정 이대학 시기 의자 기결정성과인 지조 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자기 주도 및 성취목표고등학교 시기의 미래 목표 설정 이대학 시기 의자 기결정성과인 지조 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등학교 시기의 미래목표 설정이 대학시기의 자기결정성과 인지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1. 서론
선행연구를 통해 미래목표 설정이 학생들이 학습 활동 참여 및 몰입, 학습동기, 학습지속성, 만족지연능력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자기 결정성 이론에서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율성을 동기에 핵심으로 보고, 자율성에 따라 동기의 종류를 외적인 요소가 강한 것부터 점차 내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는 연속선상에서, 외적 조절, 부과된 조절, 확인된 조절, 내재적 조절 4가지로 보고 있다. 이러한 미래목표설정과 자기 결정성, 그리고 인지조절전략간의 관계를 살펴볼 때 외재적 미래 목표는 외적 조절 및 부과된 조절, 심층 수준의 인지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내재적 미래 목표는 확인된 조절 및 내재적 조절, 심층 수준의 인지전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연구문제
고등학교 3학년 때 미래목표 설정이 대학교 2학년 시기의 자기 결정성과 인지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래목표->자기결정성의 직접효과, 미래목표->인지조절전략 직접효과, 미래목표->자기결정성 매개->인지조절전략 간접효과)
3. 연구방법
2005년부터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 6차년도와 8차년도의 학생 6,908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한 종단연구이다. SPSS 14.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 연구모형 설정 후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고, FIML을 사용하여 결측치를 해결하였다.
4. 연구결과
내, 외재적 미래목표가 자기결정성과 인지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을 살펴본 설과, 카이스퀘어 값은 28.613으로 연구 모형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TLI=.988(.90이상), CFI=.998(.90이상), RMSEA=.018(.05이하)로 자료에 모형이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내재적 미래목표가 자기결정성의 외적 조절과 부과된 조절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확인된 조절과 내재적 조절에는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외재적 미래목표는 4가지 종류의 동기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물질적 부 성취와 관련된 가치의 내면화를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미래목표와 인지조절전략의 관계를 보면 내재적 목표가 정교화(심층전략)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시연(표층전략)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인다.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외재적 미래목표와 인지조절전략의 초인지, 정교화(심층전략)간에 자기결정성에 부과된 조절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논의
이 연구에서는 카이스퀘어 값이 표본에 민감하다는 점을 들어, 다른 적합도 지수가 좋으므로 자료에 모형이 잘 부합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카이스퀘어 값은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라고 배운 기억을 더듬어 볼 때, 모형 적합도를 좋다고 결론 내린 것에 대해 의문을 갖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물질적 성취(외재적 동기)와 자기성장(내재적 동기)이 같이 증가하고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인데 이를 반비례 관계, 혹은 이질적인 것으로 보고 있지는 않는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뿐만 아니라 이 연구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 외재적 미래목표가 내재적 미래목표에 비해 인지전략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를 고등학생들의 학습 목표 및 목적과 관련하여 해석한다면 더욱 의미 있는 해석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남는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경우, 명문대 합격 및 많은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직업을 위한 준비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담을 덜 갖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어떠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