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

 1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
 2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2
 3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3
 4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4
 5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5
 6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6
 7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7
 8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8
 9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9
 10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0
 11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1
 12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2
 13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3
 14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
  • [생활위생학]병원성 대장균과 O157:H7 대장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식품위생학 공통) 1.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이렇게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 [식품위생학] 병원성 대장균 E. coli O157H7과 식중독
  • 식품위생학 2017[햄버거병 용혈성 요독증후군 병원성대장균 CCP설정] 식품위생학 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 2. 이렇게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식품위생학 2017년 2학기 생활과학 환경보건학과 방송대 중간과제레포트
  • [환경미생물] 병원성 대장균
  • [식품미생물] 한국과 외국의 식중독 발생 현황
  • 식품위생학]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 식품위생학 이렇게 단체급식 및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2017년 2학기 식품위생학 햄버거병 용혈성 요독중후군 CCP
  • 식품위생학 2017+소위 햄버거병이라 일컬어지는 용혈성 요독증후군을 일으키는 병원성 대장균에 대해 설명하시오.이렇게 외식산업에서 발생하는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CCP를 설정하시오
  • [임상화학] E. coli의 분리동정
  • 소개글
    [위생학] 병원성대장균 O157-H7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병원성대장균 0157 (E.coli 0157)
    임상적 특징
    감염경로
    1. 대장균 O -157 : H7이란?
    2. 대장균 O -157 : H7 이라는 이름은 어떻게 붙여진 것인가?
    3. 대장균 O -157 : H7이 왜 최근 일본에서 문제가 되고 있나?
    4. 일본에서 폭발적으로 발생한 대장균 O -157 : H7 식중독의 발병원인과 오염경로는?
    병원성 대장균 (O157:H7)감염증
    1. 원인 대장균
    2. 발 생
    3. 균의 저항성
    4. 인 체 감 염
    5. 동물감염과 축산물 오염원
    6. 진 단
    7. 예 방 대 책
    유전자 동시검출 기법
    장출혈성 대장균 및 O157:H7
    본문내용
    병원성대장균 0157 (E.coli 0157)
    대장균은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에 존재하며 일부 병원성 대장균은 설사등을 유발하는 병원성을 지니고 있고 때로는 방광염, 담낭염, 신우염, 신우신증, 패혈증, 수막염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병원성대장균 (E.coli 0157)은 심한 혈변성 대장염의 원인균으로 1982년 미국에서 햄버거를 먹고 발병한 집단 설사 환자들로부터 0157:H7균이 분리됨에 따라 알려지게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북미, 유럽, 남아프리카, 일본, 남미 및 호주의 남해안 지역에서 감염에 의한 집단 환자발생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본에서 수천명의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경남 고성군에서 상가 문상객 중 6명이 설사증세를 보여 가검물 채취 확인결과 6명중 1명에서 국내 처음으로 0157균이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