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

 1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1
 2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2
 3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3
 4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4
 5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5
 6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6
 7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7
 8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8
 9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9
 10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10
 11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11
 12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6.27
  • 12페이지 / hwp
  • 1,000원
  • 30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편집 비평적 redactioncriticism해석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양식 비평(Formgeschichte)이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인 1920년 경에 M. Dibelius의 양식 비평 연구서인 Die Formgeschichte des Evangeliums(Tuebingen: J.C.B. Mohr)가 1919년에, 그리고 R. Bultmann의 양식 비평 연구서인 Die Geschichte der Synoptischen Tradition(Goettingen: Vandenhoeck & Ruprecht)가 1921년에 출판되었다.
시작되었던 것과 비슷하게, 편집 비평(Redaktionsgeschichte)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인 1950년 경부터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세계 대전이란 엄청난 참상의 경험을 통해서 신학은 괄목할만한 발전을 보게된 셈이다. 전쟁의 비극을 통한 인간에 대한 절망이 하나님께 대한 희망을 가져다 주었고, 이것이 신학 발전을 위한 계기가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1921년에 Rudolf Bultmann의 (Geschichte der Synoptischen Tradition)가 출간되어 나온 이후로 복음서 연구는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고, 실제로 놀라운 발전을 이룩한 것이 사실이다. 그 책이야말로 복음서 연구의 새 기원을 이룬 양식 비평의 기념비적인 연구서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시금 양식 비평에 이어서 편집 비평이 새로이 등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가? 한 마디로 19세기의 자료 비평(source criticism)이나 20세기 초기의 양식 비평(form criticism)이 복음서 연구에 어쩔 수 없는 한계를 드러냈기 때문에 그것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 방법의 필요성이 생겼기 때문일 것이다. 자료 비평과 양식 비평의 한계점은 무엇보다도 둘 다 문서 자료나 구전 자료 등만을 주로 다룬다는데 있다. R.C. Briggs, Interpreting New Testament Today(New York: Abingdon, 1973), p. 111.
물론 복음서 기자들이 어떤 문서 자료들을 사용했는지, 그리고 복음서 기자들이 복음서를 기록하기 이전에 복음서 자료들이 구전으로 어떤 형태로 또는 어떤 삶의 자리에서 어떤 목적으로 전해졌는지를 밝히는 일은 복음서의 보다 나은 이해와 해석을 위해서 아주 중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자료나 구전에 대한 관심만으로는 복음서 전체에 대한 이해, 보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복음서 기자가 구전 자료나 문서 자료를 이용하여 복음서를 기록할 때 갖고 있었던 신학적인 목적과 의도를 전체적으로 알아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N. Perrin의 다음과 같은 말도 양식 비평의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불트만은...공관복음 전승 연구에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바친채 마태와 누가가 그 전승을 특별히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히 보지 못했다.” N. Perrin, What is Redaction Criticism?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3, p. 20.
자료 연구나 구전 연구가 너무나도 부분적인 문제에만 관심을 기울인 나머지 복음서 전체의 기록 목적이나 복음서 전체를 통해 드러나고 있는 신학적 의도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흔히 이런 문제점을 두고, 자료 비평이나 양식 비평은 나무 하나하나를 다루던 나머지 나무들이 구성하고 있는 숲 전체를 보지 못하는 잘못을 범했다고 비유되곤 했다. R.H. Stein, "What is Redaktionsgeschichte?" JBL 88(1969), p. 45; R.F. Collins,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London: SCM Press, 1983, p. 197.
더구나 복음서 기록들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들이 많이 있는데 그런 모든 문제들이 자료 비평이나 양식 비평만으로는 다 해결되지 않고 있다는데 문제가 있었다. 일단 부분적인 관심이 어느 정도 충족된 다음에는 당연히 전제에 대한 통합적인 관심이 대두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바로 이런 요구가 편집 비평에 의해서 어느 정도 충족되게 된 셈이다.
(2) 편집 비평의 창시자 및 그 선구자들
일반적으로 편집 비평은 1954년에 출판된 H. Conzelmann의 누가복음 연구서(Die Mitte der Zeit 이 책이 1960년에 The Theology of St. Luke이란 이름으로 Geoffrey Buswell에 의해 英譯되었다.
)에 의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미 1948년에 G. Bornkamm에 의해 발표된 연구 논문(“Die Sturmstillung im Matthaeusevangelium" In: Wort und Dienst, Jahrbuch der Theologishen Schule Bethel NF 1, 1948, pp. 44; 이 논문이 다시금 G. Bornkamm, G. Barth and H.J. Held, Tradition and Interpretation in Matthew, 1963, pp. 52-57에 영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이 전형적인 편집비평적 해석 방법에 의한 연구였던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Bornkamm이 마태복음의 한 본문(마 8:23-27)을 가지고 마태가 마가의 자료를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래서 결국 마가의 본문과 표현과 의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연구했다면, Conzelmann은 수년 후에 누가복음 전체를 가지고 누가가 마가복음의 자료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래서 마가와 다른 어떤 신학적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지를 연구했다. 그래서 Perrin은 “만약 Guenther Bornkamm을 the first of the true redaction critics라면, Hans Conzelmann은 분명히 the most important"라고 두 사람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Cf. What is Redaction Criticism? p. 28.
다시 2년 후인 1956년에는 W. Marxsen이 같은 관심을 가지고 마가복음을 다룬 연구서(Der Evangelist Markus W. Marxsen, Der Evangelist Markus: Studien zur Redaktionsgeschichte des Evangeliums, Goe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56. 이 책은 1969년에 Mark the Evangelist(New York: and Nashville: Abingdon Press)란 이름으로 英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