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

 1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
 2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2
 3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3
 4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4
 5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5
 6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6
 7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7
 8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8
 9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9
 10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0
 11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1
 12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2
 13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3
 14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문학] 가면극(탈춤) 연구사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사 검토
1. 시기별 연구사 특징
2. 연구사 검토
1) 기원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2) 구조 및 구성원리 관한 연구
3) 주제에 관한 연구
4) 연극성과 놀이성에 대한 연구
5) 외국 연극과의 비교 연구
Ⅲ. 나오며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들어가며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출발한 가면극 假面劇, 그 명칭의 문제: 지금까지 연구자에 따라 산대극, 민속극(전통극), 구극, 탈춤(탈놀이,탈놀음) 등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명칭의 의미를 살펴보고 그 적절성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
① 산대극 (산대도감극): 산대도감에 소속되었던 연희패들이 놀았던 탈놀이의 이름
② 민속극 (전통극): 민간에 전해 내려 오는 전설 등을 내용으로 하는 연극. 인형극, 창극을 포함하는 개념.
③ 구극(舊劇): 신극과 대립되는 명칭으로 전통극인 가면극, 인형극, 창극을 지칭함.
④ 탈춤 (탈놀이,탈놀음): 연기자들이 탈을 쓰고 다른 인물 또는 초자연적 존재 등으로 분장하여 연출하는 것으로 본래 황해도 지방의 탈춤을 가리키는 용어였음. 참고로 경기도 지방 가면극은 ‘산대놀이’로, 경상남도 지방 가면극은 ‘야유(野遊)’ 또는 ‘오광대(五廣大)’로 각각 불리었음. 가면을 쓰고 논다는 ‘춤’의 의미가 강조됨.
⑤ 가면극: 가면은 사람이나 동물의 얼굴 모양을 만들어 주로 얼굴에 써서 분장에 사용하는 것임. 한자어로는 면(面j),면구(面具),가면(假面),대면(大面),가두(假頭),대면(代面),가수(假首)등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우리말로는 광대, 초라니, 탈, 탈박, 탈바가지 등으로 불리어 왔다. 탈춤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연기자의 일부 또는 전원이 가면을 쓰고 연희하는 극으로 연극개념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으며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명칭임.
연구는 문학, 민속학, 연극, 음악, 무용, 복식 등의 분야에서 진행되어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그간 연구자들은 가면극의 연극적 위치를 개척해 놓았고 특히 조동일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학자들이 전통적, 문학적인 접근방법에서 탈피하여 사회양상의 변동, 가치의식의 변화, 민중의식의 확대 등의 문제에 접근하였고 또 채희완 등의 학자들이 이를 미학의 대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 업적을 인정받을 수 있다고 본다. 그동안 이룩한 성과에 의하여 가면극의 실상이 점차 밝혀지고 있으며 가면극이 종합예술의 성격을 가진 살아있는 민속예술로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가면극 연구에 참여한 학자들 사이에는 대립된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고 해결해야 할 과제 역시 있다. 이제 오랜 세월에 걸쳐서 이루어진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각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새로운 각도에서 연구의 방향과 전망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초창기부터 80년대 중반까지 연구 내용들을 시기별로 간략히 개관하고 가면극 연구에서 부각되었던 논점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기린원, 1988 , 『한국문학통사 2,3』, 지식산업사, 2003
, 『탈춤의 매체 분석-그 활용성과 지향- 』배달말 vol.26 no.1, 2000
전경욱,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열화당, 1998
김지하, 『탈춤의 민족미학』, 실천문학사, 2000
이두현, 『한국 가면극』, 일지사, 1979
김욱동, 『탈춤의 미학』현암사, 1994
서연호, 『꼭두각시놀음의 역사와 원리』, 연극과 인간, 2001
박진태, 『탈놀이의 기원과 구조』,새문사,2000 , 『탈춤과 TV마당놀이의 관련양상』
『한국가면사의 시대구분』, 비교민속학회, Vol.16 No.1 [1999]
『민속극의 연행구조 (演行構造)와 갈등양상 (葛藤樣相)』, 비교민속학회,Vol.7 No.1 1993
명인서, 『탈춤, 동양의 전통극, 서양의 실험극』,연극과 인간, 2002
김방옥, 『한국 가면극의 연극미학』,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77
이은희, 『한〮〮⋅일 전통 극의 비교연구』중한인문과학연구회, 6권 1호,2001
채희완, 『가면극의 미의식 연구대상으로서의 의의』,한국미학회, 1978
전신재, 『양주별산대놀이의 생명원리』,성대 석사학위논문, 1980
成炳禧,『한국 가면극의 여역』여성문제연구, 대구효성 카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1979
손태도,『민속 연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구비문학회, 16권,2003
이상오,『한국 가면극의 연구』, 원광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학회, Vol.2 No.-, 1996
민혜숙,『韓國 假面劇의 美學的 考察』,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1975
조만호,『탈춤 자료 ‘읽기’에 대한 반성적 제안』,vol.9 No.1 한국역사민속학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