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

 1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1
 2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2
 3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3
 4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4
 5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5
 6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6
 7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인식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경제의 세계화, 국제화가 진전되면서 외국인 노동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농촌총각 장가 보내기등의 범시민적 운동에 따라 단일민족이라 자부하던 한국은 인구구성과 집단이 다양해지고 그 구성에 다문화가정이 속하게 되었다. 60-70년대 우리나라에서는 화교 및 외국인군인과 결혼한 국제결혼가족 등 과거에도 있어왔으나 다문화 가족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산업현장의 노동력 부족으로 외국인노동자들이 입국하기 시작하여 1992년 세계화의 추진 선언 이후 외국인근로자의 입국이 제도화되면서 이후 외국인근로자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되었다. 또한 1990년대부터는 동남아시아 위주의 외국여성과 한국남성이 결혼하면서 우리나라는 급속히 다문화가정이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중국과의 수교이후 북한 탈주이주민수도 꾸준히 증가하여, 1990년대 초까지는 매년 10명 내외의 비교적 소수였으나 1990년대 중반에 년 50명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2007년 111,834명의 다문화가정에서 2011년 188,580명의 다문화가정, 2012년 196,789명의 다문화가정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이 늘어나면서 다문화가정 아동도 늘어나는데 학교를 다니고 있는 다문화가정아동이 2006년 9,389명에서 2012년 46,954명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결혼이주민들은 국내의 빈곤가정이나 농촌가정에 결혼을 하다 보니 경제적 여건이 넉넉지 않고, 남편들이 돈을 주지 않아 본국으로의 송금 및 용돈을 벌기위해 경제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방과후 지역아동센터에서 돌봄을 받는 아동이 늘어나게 되어 2014년 새터민450명, 다문화가정 아동10,028명이 이용하고 있다(전국 지역아동센터실태조사/보건복지부, 2015).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이주민들은 우울, 불안, 위축등을 느끼며 높은 스트레스와 부적응을 경험한다(재인용:Brry, 1990). 성인이 경험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족관계에서 자녀에게 전이되어 아동에게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재인용:노충래, 2000).
국제 아동권리협약에 따르면 아동들은 건강하게 성장할 아동으로서 권리를 지니고 있다. 다문화가정아동 역시 이러한 권리를 누려야 할 충분한 자격이 있는 존재임을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아동들의 문제에 대한 사후관리는 미흡하고 대응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아동기에 성장발달 및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시기에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교사들의 다문화가정 아동에 대한 편견, 고정관념 등 다문화가정아동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과 지역아동센터 시설의 다문화가정아동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정책의 개선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가정의 개념 및 현황
이전까지 국제결혼, 이중 문화 가정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 가족을 몇 년 전부터 ‘다문화가족’이라고 불리고 있다. 다문화가족이란 결혼이민자 등과 대한민국 국민이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가족을 말하며 국적법 제 4조에 따라 귀화허가를 받은 자를 포함한 가족을 말한다. 여기서 ‘결혼이민자 등’이란 출입국관리법에 따라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외국인근로자를 말한다. ‘다문화가족’ 이라는 용어는 국제결혼이라는 용어가 내포한 내국인 간의 결혼과 외국인과의 결혼으로 구분하는 국적에 따른 차별성 대신 한 가족 내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한 가정을 일컫는 표현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서로 다른 인종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에 초점을 맞춘 ‘혼혈인가족’과 말 그대로 국경을 넘나드는 결혼의 형태를 의미하는 ‘국제결혼가족’, 마지막으로 한부모가정·독신자가정처럼 다양한 가족의 형태 중 하나로 정의하는 ‘다문화가족’이 그것이다. 결혼이민자가정이나 이주노동자가정은 빈곤한 가정이 많다는 것은 다른 빈곤가족들이 겪는 인권 사각지대와 마찬가지이다. 이전까지 국제결혼, 이중 문화가정 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가족을 ‘다문화가족’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는 국제결혼이라는 용어가 내포한 내국인 간의 결혼과 외국인과의 결혼으로 구분하는 국적에 따른 차별성 대신 한 가족 내에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자료를 보면 2007년도부터 2012년도까지의 통계 자료로서 현재 한국의 다문화가정 현황은 갈수록 증가추세이다.
2007년에는 결혼이주 여성이 11만명 가량이었다면, 2012년에는 거의 20만명 근처까지 증가 한 상태입니다. 국가별로 다문화가정 현황을 보자면.. 필리핀이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다가, 최근 들어서는 필리핀과 베트남 비중이 비슷해졌고.. 나머지의 비중도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 출생아는 전체 출생아의 5% 근처까지 증가 하였고 20가구 중에서 1가구정도는 다문화가정 출생아라는 것이다. 갈수록 한국에서의 다문화가정 출생아가 많아져서 만 6세 이하의 출생아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2. 다문화가정의 문제에 대한 선행연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