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

 1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
 2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2
 3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3
 4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4
 5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5
 6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6
 7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7
 8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8
 9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9
 10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0
 11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1
 12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2
 13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3
 14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4
 15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전쟁과 교회의 수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45년, 해방 이후 한국교회는 교회 재건이라는 중요한 시대적 사명을 부여 받았지만 제대로 감당하지도 못한 채 6.25전쟁의 수난을 당하게 되었다. 1945년부터 전쟁이 일어나기까지 5년 동안 북한의 교회가 공산주의에 의해 전에 없는 박해를 받고 있는 동안 남한에서는 좌익과 우익의 대립이 심각하게 표면화되고 있었다. 남한에서는 사회혼란에 편승한 공산주의자들의 만행이 끊임없이 한국사회를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30년대부터 교회가 공산주의자들에게 박해를 받으며 피 흘리는 순교의 행렬이 시작되었는데 6.25전쟁의 발발로 교회의 피해와 수난은 더 가중하게 되었다. 그러면 오늘의 이 시점에서 6.25전쟁의 발발배경과 교회의 피해와 수난 그리고 그 외의 교회의 활동에 대해서 살펴보고, 전쟁의 사회적 혼란과 불안 가운데 나타난 사이비, 이단 운동의 발단 과정을 살펴보며, 장로교회의 통합과 합동측의 분열이라는 교회 내의 정치적 상황들을 살펴보자.
제 3 장 한국 전쟁과 교회의 수난
1. 6.25 한국전쟁 발발의 배경
한반도를 점령한 미국과 소련이 미소공동위원회를 구성하여 한국의 독립을 위하여 수차의 회담을 열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자 1947년 9월에 미국은 한국독립의 문제를 국제연합에 제출하였다. 유엔의 감시 하에 총선거를 실시하고, 그 결과 정부가 수립되면 미소 양군은 철수할 것을 제안한 것이었다. 이 결의안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절대 다수로 유엔 총회를 통과하였다. 그리하여 유엔 한국 의원단은 1948년 2월 유엔 소총회는 가능한 지역에서만이라도 선거에 의한 독립정부를 수립하도록 결의하였다.
1948년 5월 10일 한국 유사 이래 처음으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100석이 배정된 북한을 제외한 남한만의 총선이었다. 198명이 국민의 대표로 선출되었으며, 5월 31일 역사적인 최초의 국회가 열렸다. 제헌 국회는 헌법을 제정하여 7월 17일 공포하였으며, 7월 20일에는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였다. 이어서 행정부가 조직되고 8월 15일에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이 국내외에 선포되었다. 그 해 12월에 대한민국은 유엔 총회의 승인을 얻어 남한 정부는 한국을 대표하는 유일한 합법정부가 되었다.
북한에는 1946년 2월에 공산당이 소위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를 조직하여 토지 개혁을 위시한 여러 가지 정책으로 공산주의 정치체제를 굳히었다. 1948년 9월 소위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을 세워 군사력을 키운 공산정권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한반도를 무력으로 공산화하려고 남침을 감행하였다. 사흘만인 6월 28일에는 북의 공산군에 의하여 서울이 함락되었다. 병력과 무기가 모자라는 국군은 계속 후퇴하여 낙동강을 최후의 전선으로 하여 저항하였다. 유엔은 대한민국에 군사적 원조를 결정하였으며, 미국을 위시한 16개국의 군대가 내한하여 유엔의 깃발 아래 국군과 합동 작전을 개시하였다.
유엔군은 맥아더 장군의 인천 상륙작전의 성공으로 9월 28일, 서울을 탈환하였다. 9월 30일에는 38선을 돌파하고 북진을 계속하여 동해안으로는 청진까지, 중부에서는 혜산진의 압록강까지, 서부에서는 선천까지 도달하였다.
한반도 전체를 수복하는 순간을 목전에 둔 찰나에, 인해전술로 밀어닥치는 중공군의 개입으로 국군과 유엔군은 후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한강 이남까지 후퇴하는 바람에 서울은 다시금 공산군의 수중에 들게 되었다. 그러나 유엔군의 반격으로 공산군은 38선 이북으로 물러났으나 그때부터 전선은 교착상태에 빠졌다. 그러다가 마침내 유엔군과 공산군이 1953년 7월 27에 휴전협정을 맺으면서 치열한 전투는 종식되었다.
2. 한국전쟁에 대한 교회의 대응
1950년 6월 25일 주일 새벽 4시를 기해 북한이 남한에 대한 전쟁을 시작했을 때 한국의 모든 교회는 평상시처럼 새벽 기도회를 드리고 있었다. 전쟁을 단순한 침략 정도로 인식한 상태에서 남한 교회의 지도자들은 26일부터 그 대책 수립 및 대응에 나섰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