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

 1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
 2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2
 3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3
 4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4
 5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5
 6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6
 7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7
 8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8
 9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9
 10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0
 11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1
 12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2
 13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3
 14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성서 해석학 편집 구조 사회과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최근 신약성경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한 단어가 있다면, 그것은 비평이라는 단어일 것이다."
"비평"이라는 말은 우리가 성경을 판단하는 자리에 앉아있음을 의미하는 것같은 그런 인상을 주고 있는데, 역사적인 배경에서 살펴 볼 때 성경이 초자연적으로 영감을 받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주장을 배격하는 학문에서 유래 되어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성경본문이 어떠해야만 할것인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우리가 해야만 하는 일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살펴서 바로 이해하고 순종하는 것일 뿐이다. 동시에 우리는 인간적인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할 때에는 엄격한 주의를 가져야 한다.
Langdon Gilkey는 "성경은 신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적인 것이며 하나님에 대해 증거하되 많은 오류와 실수들로 가득차 있으며, 은혜의 수단이되 내용면에서는 참된 증거가 아니다"라고 언급한바 있다. 이런식으로 성경 비평학자들은 너무도 자주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문학작품으로 보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의 깊은 성경연구로부터 나오는 진정한 유익들을 수용해야만 하겠지만, 성경비평에서 대해서 아무것도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편집비평(Redaction Cricitism)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편집비평의 사용으로부터 말미암는 위험들을 인식하고 그것에 깔린 잘못된 전제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먼저, 편집비평의 역사적 뿌리들을 살펴본 후에 편집비평의 기원과 정의를 다룰 것이다. 그리고 편집비평의 내용들과 그 방법론들을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편집비평의 주요 문제점들을 논의한 다음 그것의 복음주의적 사용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2. 편집비평의 역사적 뿌리
편집비평은 신약성경 연구역사에 갑자기 등장한 독립된 연구방법이 아니다. 편집비평의 뿌리는 양식비평(Form Criticism : 독일어로는 Formgeschichte)과 자료비평(Source Criticism)에 까지 소급된다.
특히 자료비평은 19세기 동안 광범위하게 논의 되었으며, 독일의 합리주의의 성장과 관계를 가지고 있다. Charles B. Puskas는 자료비평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자료비평은 신약성경이 구전 전통과 성문화된 전통들에 대한 인간적 수집의 산물이라는 사실을 전제한다." 1세기 이상에 걸쳐서 자료비평이라는 표현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비평연구가 결국 신약성경학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했을 때, 양식비평(Form Criticism)이 1920년대에 알려지게 되었다.
세 독일 신학자들이었던 칼 루드비히 스미트(Karl Ludwig Schmidt), 마르틴 디벨리우스(Martin Dibelius), 루돌프 불트만(Rudolf Bultmann)은 복음서 기자들이 각각의 복음서 기사를 기록한 형식을 연구했다. 그들은 각각의 복음서의 이야기들은 초대교회 안에서 구전으로 회람되었을 것이라고 가정했다. 또한 그들은 초대교회가 예배와 교리교육과 기독교 신앙의 변호를 위해서 생겨난 그런 필요들을 충족 시켜주는 이야기들만을 받아들였다고 가정했다. 그러므로 초대교회의 신앙이 이러한 복음서 단위들(gospel units)로 표현된 것으로 보게 되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양식비평학자들은 초대교회를 복음서 단위들의 편집자로 간주한다.
그러나 양식비평의 등장한 지 약 30년 후 신약성경 학자들은 양식비평이 더 이상 복음서의 형성에 대한 의문들을 해소시켜 주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학자들은 세 공관복음서들의 내용을 나란히 대조시켜 복음서의 저자가 과연 누구인지를 비교해 보았다. 그리해서 위에서 언급된 이러한 양식비평연구의 결과로 편집비평은 등장하게 되었다. 결국 1950년대에 편집비평은 양식비평의 하부분과(subdiscipline)로 태어난 것이다.
편집비평의 역사적 뿌리에 대한 이 간략한 개요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편집비평이 하나의 역사적 분과로서 자료비평과 양식비평으로 부터 서로 분리할 수 없이 연결되어 있으며 편집비평이 그것의 기초로서 이전의 비평들 위에 서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편집비평 또한 성경은 단지 인간적인 산물에 불과하다는 앞선 비평들의 전제를 물려받은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두 분과들과 같이 이 편집비평도 복음서들의 성령의 영감을 인정할 수 있는 자리를 남겨두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3. 편집비평의 기원과 정의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