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1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1
 2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2
 3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3
 4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4
 5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5
 6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6
 7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7
 8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8
 9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9
 10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10
 11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11
 12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북한이탈주민정착 제도가 북한이주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북한은 1990년대 들어서면서 동구 사회주의권 국가들의 붕괴와 중국의 개혁, 개방에 따른 체제의 위기를 겪게 됨과 동시에 극심한 식량난과 경제사정의 악화, 거듭되는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수의 국민들이 굶주림에 노출되었다. 특히, 1994년 김일성 주석 사망이후 3년간은 북한 내에서 ‘고난의 행군’이라 불리는 시기로 식량배급이 중단되고, 함경도 등의 변방지역을 중심으로 수많은 아사자가 속출하였다. 이에 따라 국경주변의 북한주민들은 중국으로 식량을 구하기 위해 월경을 대규모로 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 중 일부가 몽골이나 동남아의 제3국을 통해서, 때로는 중국주재 외국대사관을 통해서 남한으로 입국하기 시작하였다 이금순, “북한주민의 국경이동 실태: 변화와 전망”, 『통일연구원 연구총서』05-06, (2005).
.
분단 이후, 귀순용사라는 이름으로 남한으로 넘어와 체제선전의 수단이 되었던 북한이탈주민들은 앞에서 서술한 과정을 거치며 1996년 입국자가 56명으로 늘어나기 시작하여 1999년부터는 연간 100명을 넘어서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97년 7월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이들에 대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면서 이들에 대한 공식명칭을 ‘북한이탈주민’으로 명명하게 된다. 현재 1만8천명에 달하는 북한이탈주민들은 분단의 세월만큼 남한사회정착에 힘들어 하고 있다. 사회제도, 문화, 언어, 가치관 등의 남북사회의 차이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에 큰 장애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취업문제를 비롯하여 가정과 여성문제, 청소년 부분 등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부적응에 대한 정부와 민간단체의 지원활동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지역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들 가운데 일부의 경우는 보다 높은 임금과 취업을 위해 배정받은 지방의 아파트를 비워둔 채 수도권지역으로 올라가고 있는 상황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남한으로의 입국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남한 정착을 위한 정책과 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하고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일부는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2009년부터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교육’ 기관인 하나센터를 3개지역에 시범설립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전국 30개 지역에 하나센터를 민간에 위탁 운영하고 있다. 하나센터의 교육과정 중 60% 정도가 취업교육에 할애되고 있다. 그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장 큰 문제가 취업이라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와 유사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과거 서독의 경우에도 동독이탈주민들의 적응에 있어 취업에 중점을 두었으며, 튼튼한 사회안전망(사회보장제도)를 통해 이들의 정착을 무난하게 진행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남한 입국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경제활동에 해당하는 인구가 절대적으로 많음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자연스러운 취업과 안정적인 정착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새로운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사회적 소수자의 주요 원인으로 제기 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배제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적 배제의 개념과 북한이탈주민의 정착현황 및 정착지원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2009년 대구지역에서 하나센터 교육을 수료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논의의 한계는 첫째, 대구지역 북한이탈주민만을 대상으로 하였음으로 지역적 한계점이 존재하고 둘째, 하나센터 수료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하나센터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을 포함한 결과와는 다를 수 있다. 셋째는 하나센터가 설립된 기간의 짧음으로 인해 한국에 입국해서 살고 있는 기간이 8개월에서 1년 6개월의 북한이탈주민으로 한정된 점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북한이탈주민 현황 및 정착지원제도
1) 북한이탈주민 현황
연령별 유형(입국시점 기준, ’09.7월 현재)
구 분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창권(2007). 북한이탈주민의 남한노동시장에서의 취업결정요인 연구. 경상논총
유시은. 전우택. 조영아. 홍창형. 언진섭(2005). 남한내 북한이탈주민의 3년간 사회적응 추적연구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생활과 교육을 중심으로. 통일연구
유시은. 엄진섭. 윤덕용. 전우택(2008). 북한이탈주민의 소득수준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년 패널연구. 통일정책연구
유지웅(2007).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통일문제연구
윤인진. 길은배. 박영희. 엄흥석. 윤여상. 채정민(2006). 새터민 여성청년실태조사보고서.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정보센터(2010). 2009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동향
윤인진. 이진복(2007). 소수자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통합의 과제-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상황실태조사 연구용역보고서(2003).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이주민지원센터(2009) 북한이탈주민 2만명 시대 특별기획 심포지움
이기영(2005). 소수자로서의 북한이탈주민문제와 사회복지의 과제. 통일연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