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

 1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1
 2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2
 3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3
 4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4
 5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5
 6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6
 7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7
 8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8
 9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9
 10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10
 11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11
 12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세기 기독교학교의 대안적 모델과 기독교학교의 위기와 과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교회는 그 초기 역사에서부터 교육을 중요시 했다. 1900년 초 기초교육 기관의 상당수가 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근래에 접어들어 교회 상황이 위기에 처했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기독교 교육에 대한 위기로까지 연결된다. 기독교 교육의 위기는 또 다른 형태의 교회의 위기를 가져온다.
교육이란 피교육자의 내면에 들어가 잠재적인 성장의 가능성이 바르게 발전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러면 교육이라는 단어 앞에 ‘기독교’라는 단어가 붙는 기독교 교육은 기독교를 교육하는 것이며 기독교가 주체적으로 실시하는 교육이다. 고용수외 “기독교교육개론”,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p19-20
기독교교육은 인간의 앎과 삶을 연결시키는 실천적 행위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성경의 토대 위에서 삶의 자리에서 하나님의 뜻을 깨닫고 행동하도록 도와주고 격려하는 제반의 교육적 행위이다. 기독교 교육은 하나님의 교육이며,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이다. 또한 고백적이어야 하며, 교회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위의 책, p219-221
기독교 교육을 위해 세워진 학교를 기독교 학교라고 부른다. 이 기독교 학교도 분류상 3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미션스쿨이라고 부르는 선교를 목적으로 한 ‘기독교 선교학교’가 있다. 그러나 고교 평준화 이후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선교전략을 마련하는데는 성공적이었다고 말하기 힘들다. 둘째는 기독교인 가정의 자녀들을 양육하기 위한 기독교 교육을 실천하는 ‘기독교학교’이다. 기독교학교는 제자도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상황에서는 기독교학교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립학교일 뿐만 아니라 공교육의 제도권 내에서는 자율성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공교육 밖에서 대안학교의 형태로 교육될 수밖에 없다. 세 번째로 ‘기독교 대안학교’가 있다. 기독교 대안학교는 기존의 학교에 대한 대안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대안학교여야 하지만 그 대안이 ‘기독교적’이어야 한다. 위의 책, p185-191
이러한 기독교 학교가 처한 가장 근원적인 문제는 학문적 수월성과 기독교 이념 사이의 갈등이다. 정부의 통제 정책은 기독교 학교의 자율성을 저해하며 기독교 교육의 일환인 채플과 성경 교육을 사실상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은준관, “기독교 교육현장론”, (서울:한들출판사, 2007), p401
실제로 부산 지역에는 28개 정도의 기독교 학교가 있지만 채플을 드리는 학교는 2-3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기독교 학교가 사는 길은 기독교 학교만이 가져야 할 특성과 특색을 다시 그 몸 안에 부활시키는 것이다. 기독교적 정체성을 포기하는 순간부터 기독교 학교는 그 사명을 포기하는 것이다. 위의 책, p407
기독교 학교는 기독교적이며 신앙적인 유산을 되살리면서도 문화와 학문의 수월성을 성서적이며 신앙적인 빛에서 추구해 가야 한다. 과학의 우수성과 문화의 우월성이 성서적인 비전과 신앙의 빛 아래서 보다 깊은 진리와의 만남으로 이끌어가는 새로운 통합의 관계를 모색하는 제3의 양식이 필요하다. 은준관, “기독교 교육현장론”, (서울:한들출판사, 2007), p408-409
이에 연구자들은 지식의 전통과 연구를 전달할 뿐 아니라 의미 있는 삶과 목적으로 학생들을 초청하는 교육, 사회변화를 위한 교육, 사회변화를 책임적으로 수용하는 지도력과 지식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4차원적인 교육 위의 책, p416-417
에 대한 ‘21세기 기독교 교육의 대안적 모델’을 찾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용수외 “기독교교육개론”,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p19-20
김인중, “안산 동산고 이야기” (서울:두란노, 2007)
은준관, “기독교 교육현장론”, (서울:한들출판사, 2007), p401
이원일, “해석학과 기독교 교육현장”,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8), p250
밴스톤 쇼, 박영주역, “공동체를 세우는 협동학습”, (서울:디모데, 2007), p11-12
수원중앙기독초등학교, http://christianacademy.e-wut.co.kr
지구촌 고등학교, http://glovillhigh.org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