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

 1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1
 2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2
 3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3
 4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4
 5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회 성장전략 선교학 대전제 29장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회성장운동은 선교학적인 관심사들 가운데서 일어났다. 교회성장운동의 아버지라 불리는 도널드 맥가브런(Donald A. McGavran)은 연합기독선교회에서 1923년에 선교사 임명을 받고 인도에 가서 사역하였다. 맥가브런은 처음 수년 간은 선교 현지에서 행정직에서 일하면서 보냈다. 18년간의 전도 사역 후 맥가브런은 경험에 입각해서 선교사역을 평가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는 인도 내에 있는 145개 선교지부들을 연구한 결과 그중 11개 지부만이 인도의 일반인구 증가율만큼의 성장률이 있었던 것을 발견하고 놀라워했다. 145개 선교지부 중에 19개 지부는 3년만에 장년 개종자가의 증가가 대부분이었던 탓에 두배의 증가가 있었다.
맥가브런은 선교사들이 동일한 환경에서 거의 동일한 정도의 성실성으로 사역하였는데 성장하는 쪽과 성장하지 않는 쪽이 있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되어 질 수 있는가?하는 질문을 자주 받았다. 그는 행정직을 떠나 개척과 연구에 몰두하게 되었다. 이러한 오랜 연구의 결과로 그는 『하나님의 가교』라는 책을 집필하였고, 이 책은 교회성장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등이었다.
1. 기본적 정의들
“교회성장학”이란 용어에 대해서 많은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해 미국교회성장학회는 “교회 성장이란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으라는 하나님의 대위임명령을 효과적으로 성취시키는 것과 관계된 학문으로서, 기독 교회들의 본질, 확장, 설립, 증가, 기능 및 교회의 건강에 관한 것을 탐구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것은 와그너의 영향력을 강력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와그너는 교회성장학 정의에서 다섯 가지를 반영하고 싶어 했다. 첫째, 교회성장은 하나의 학문이다. 둘째, 교회성장은 제자훈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셋째, 교회성장은 하나님의 말씀에 중심을 둔다. 넷째, 교회 성장은 사회적 행동과학들을 통합해서 어떻게 하면 교회가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서 단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대교회성장운동은 인도에서 도널드 맥가브런의 선교학 연구와 함께 시작되었는데 그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도널드 맥가브런의 공헌을 살펴봐야 한다. 그는 진정한 신약성경의 전도는 지교회 안에서 보다 많은 열매를 맺는 제자들을 내도록 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맥가브런은 교회성장이라는 용어를 진정한 전도의 바람직스런 열매라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즉, 교회성장은 예수 그리스도와의 교제를 통해서 책임 있는 교회회원이 되도록 예수 그리스도와 개인적 교제를 가지는 남자들과 여자들을 인도하는데 관계되는 모든 것이라고 정의한다.
2. 교회성장운동의 역사
1) 교회운동의 전주자들
맥가브런은 기독교 선교의 최우선 순위를 영혼 구원에 두고 있었다. 학생자원운동은 맥가브런의 선교 사역 초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개개인의 개종을 일차적 목적으로 보았으며 또 다른 사상적 흐름으로는 교회중심적 선교전략이 있었다. 개종한 자들이 지교회의 적극적인 참여자가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또한 전도는 지교회 제자화가 확실시 될 때까지 완성된 것이 아니라고 강조하였다.
알렌은 신약성경에서 밝혀진 선교 방법들을 자기 시대의 교회들이 잊어버렸다고 단언했다. 그는 교회가 성경적인 교회성장 원리들을 소홀히 하면서 비성경적인 전통과 방법은 따른다고 하였다. 그들이 따르고 있는 전통중의 하나는 선교활동을 위한 기관들을 세우는 것이었다. 알렌은 그러한 기관들은 신앙을 전파하는 일에 더 잘 헌신할 수 있는 재정적 자원과 인적자원을 해외로 내보냈다고 믿었다. 알렌의 대담성은 맥가브런에게 동기부여가 되었다. 피켓의 조사연구는 중부 인도에 134개의 선교지부가 10년만에 다만 12퍼센트 정도만 성장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런 보고를 통해 맥가브런은 그의 열정적 제가 되었다. 맥가브런에게 끼친 피켓의 영향은 오늘날 최소한 교회성장학 분야의 문헌에서 세가지 영역에서 주목받을 만하다. 첫째, 선교에 대한 피켓의 실용주의적 접근이다. 둘째, 피켓은 맥가브런에게 군중운동을 소개 했는데 후에 맥가브런은 이것을 민중운동이라고 말한다. 셋째, 수용성의 원리인데, 이것은 피켓에서 시작되어 맥가브런의 현대 교회성장학으로 나아가는 교회성장학 원리중 최고의 명쾌한 이론이다.
2)교회성장운동의 시작 : 맥가브런 시대(1955-1970)
1936년부터 1953년 사이 맥가브런은 교회성장에 관한 많은 착상들과 연구결과를 수집하였다. 그는 선교에 대한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고 연구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는 단 한달 동안 그 초고를 완성했다. 그때 민중운동, 온전케 하는 것, 제자화등의 용어를 전통적 용어로 바꾸어서 사용해 주기를 출판사로부터 요구 받았지만 그는 수락하지 않았고 그래서 신조어 어휘들이 만들어져 나오게 되었다. 1955년 『하나님의 가교』가 출판되면서 교회성장운동은 시작되었다. 그는 강렬한 실용주의를 지향했으며 효과적인 전도자들은 그들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 그들 자신의 문화, 계급, 부족, 가족들 안에 속해 있는 사람들로부터 구원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라고 특별히 언급했다. 이런 개종의 과정은 민중운동이라고 불리어 졌다. 맥가브런은 주된 목표가 불신자들을 이끌어서 그리스도께 헌신케 하며, 교회에서는 적극적인 교제에 참여케하는 제자화라고 말한다.
교회성장이 운동으로 나아가기 시작한 것은 1960년에 제도화 되면서부터이다. 오레곤 주 유진시에 있는 서북기독대학에 그의 교회성장 연구소가 마련되었다. 이 연구소는 선교사훈련, 선교학 용어와 방법론의 정립, 조사연구 및 교회성장 개념에 관한 출판에 힘썼다. 1965년 맥가브런은 풀러신학교 세계선교 대학원 초대원장이 되었으며 풀러의 세계선교 대학원은 대부분의 교회성장 활동들의 중추가 되었다.
맥가브런 시대의 최대의 마지막 발전은 그가 쓴 책 『교회성장이해』인데 1970년에 출간 되었다. 교회성장에 대한 신학, 사회학, 그리고 방법론을 논의하고 발전시킨 이 책은 맥가브런시대를 무르익게 만들었다.
3)정체성 위기의 시대(1970-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