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정치체제 의정비

 1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1
 2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2
 3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3
 4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4
 5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5
 6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6
 7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7
 8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8
 9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9
 10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10
 11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라 정치체제 의정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라사회의 질적 변화는 4세기부터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를 중고기(中古期)라 삼국유사에서 칭하는데 법흥왕 대부터 진덕여왕까지의 140년을 일컫는다. 중고기에 완성되는 고대 국가체제의 가장 큰 특징은 중앙집권체제의 확립이다. 율령의 반포와 불교의 공인 등으로 신라는 중앙집권화를 이룩하고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한다.
1) 배경
이러한 발전의 배경에는 철제 농기구 보급과 생산력의 발전이 뒷받침되어 있었다. 경상도 지역의 1~3세기 토광묘에서 발견된 철제 농구의 수는 그리 많지 않으나 4~6세기 고분과 유적에서 발굴되는 철제 농기구의 종류와 수량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철제 괭이류, 삽날, 쇠스랑 등의 보급으로 심경(深耕)을 가능하게 하여 제초작업의 효율화, 지력 회복기간의 단축, 황무지 개간에 의한 경작면적의 확대 등을 가져왔다. 그리고 손칼과 함께 나타나던 낫이 이 시기 널리 보급됨으로써 수확작업의 능률을 크게 높였다. 우경의 보급 또한 결정적인 요인이었다. 지증왕 3년(502)에 “처음으로 소를 밭가는 데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이를 통해 우경의 보급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를 이용하면 2.4배의 경작능력의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17배 정도의 경작능력 향상을 가져왔다고 추측하는 견해도 있다. 수리 시설도 확충되었다. 흘해이사금(訖解尼師今) 21년(330), 눌지마립간(訥祗痲立干) 13년(429)의 기사에서 수리시설을 정비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법흥왕 18년(531)에 전국적으로 제방을 수리하라는 왕의 지시는 이미 수리시설이 전국적으로 만들어져있음을 반증하는 기록이라 하겠다. 수리시설이 정비되면 춘추전국시대를 기준으로 수확량이 1.5~2석에서 6석 4두로 변화한 기록이 있어 수전이 한전보다 3~4배 수확량이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들로 신라사회는 급속히 성장하였으며, 사회 또한 급변하게 되었다.
(2) 사회의 변동
소지마립간 12년(490) 경주에 시장을 설치, 지증왕 10년(509)에는 동시를 개설, 관리청을 두는 등 농업생산력의 증가는 상업의 발달을 유발했다. 그리하여 도로망과 운송수단의 정비가 필요하게 되어 눌지마립간대에 우차의 보급, 지증왕대의 선박의 권장, 소지마립간대의 우역(郵驛)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수도의 인구증가가 있어 수도의 규모가 확장되었다. 자비마립간 12년(469)에 서울의 방리(坊里) 이름을 제정하였다는 기록을 통해 경주의 도시화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사회의 변화과정 속에서 기존에 있던 공동체들은 와해되거나 재편성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빈부의 차가 확대되어 계층분화가 진행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기존의 사회는 분열되고 중앙의 권력이 지방사회에 침투할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주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5세기 이후 경상도지역의 소국의 수장들이 사용하던 금동관이 신라의 금관과 똑같은 출자형으로 획일화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앙의 소국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이로써 신라의 중앙집권력은 공고해졌으며 지방사회는 신라의 체제안에 편입되고 그 지역들은 주나 군으로 재편되었다.
2) 부체제
(1)부
신라의 6부는 천(川)의 집단 또는 들(野)의 집단을 뜻하는 말에서 시작되어 지역별로 형성된 부족 여섯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이들 집단이 고구려처럼 중국식 명칭을 차용하여 한자로 쓸 때 부(部)라는 용어를 붙여 사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사로국을 형성한 경주 부근 지역 집단만을 부라 칭하였고 실제로 정치적 처우에 있어서 이들 부집단의 구성원과 타 지방민 사이에는 일정한 차별이 있었다. 문무왕 14년(674)에 외부제가 소멸하기 이전에는 경위가 6부인들에게만 수여되었고 외위는 지방민들에게 주어졌다.
(2) 6부의 기원과 성립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