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축제의 역사

 1  한국축제의 역사-1
 2  한국축제의 역사-2
 3  한국축제의 역사-3
 4  한국축제의 역사-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축제의 역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종교적 성격의 축제: 축제는 흔히 축(祝)과 제(祭)가 포괄적으로 포함되는 문화현상이라고 정의된다. 특히 고대 사회를 비롯한 전통적 사회에서 벌어지는 축제들은 성스러운 종교적 제의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 한국의 제천의례
- 의례와 놀이로서의 축제
2. 축제의 역사
1) 고대사회
한국축제에 관한 최고의 기록은 東夷傳 에 전한다. 그 부여조에 이르기를 음력 정월에 하늘굿을 드리는데 나라 사람들이 모두 크게 모여 며칠을 계속해서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고 논다하였다. 고구려는 10월이면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사람들이 크게 모이는데 이것을 이름하여 동맹(東盟)이라 했다. 고구려와 비슷한 예(濊)도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이 때가 되면 밤낮으로 술마시고 노래하고 춤추어 이것을 무천(舞天)이라 하였다. 또 부여의 정월 영고(迎鼓), 마한(馬韓)의 5월과 10월 농공시필기(農功始畢期)가 있었다.
이러한 고대사회의 축제들은 상고시대 부족들의 종교, 예술 생활이 담겨 있는 제정일치의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2) 삼국시대 고려시대
고대의 축제는 국가적 공의(公儀)와 민간인들의 마을굿이라는 것으로 나뉘어져서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 이것은 사졸들의 위령제였던 신라의 ‘팔관회’를 거쳐 고려조에서는 일종의 추수감사제 성격의 공동체 신앙으로 10월에 개최된 ‘팔관회’와 새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성격으로 정월 보름에 향촌 사회를 중심으로 향촌 구성원을 결속시켰던 ‘연등회’라는 두 개의 형식으로 구분되어서 전해 내려오게 되었다.
팔관회는 지배 계층의 결속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고, 연등회는 농경의례적인 성격의 종교집단행사였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의 한가위 추석도 이런 제천의식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팔관회연등회는 겉으로 불교의례의 명칭과 외모를 취하고 있었으나 내용인즉 고대사회의 축제를 그대로 계승하고 있었다. 그것이 봄가을로 국가적 규모로 행하여진 것도 그러하다. 다만 축제에 온갖 놀이가 더욱 성대하게 갖추어졌던 것이 약간 다를 뿐이었다.
고려에선 연말이 되면 나라의 안녕을 위해 나례가 벌어졌다. 이 또한 국가적 축제로 이 행사가 벌어지는 날이면 왕을 위시해 모든 신하들과 백성이 함께 모여 신께 절을 올리고 잡희를 벌리며 즐거워했다. 일과 놀이를 일관된 삶의 싸이클로 받아들이는 그들에게 나례는 신을 중심으로 한 또 하나의 새로운 삶의 원동력이 되었다.
참고문헌
※ 참고 자료
한국 축제의 이론과 현장 / 김선풍 / 月印 / 2000 /(도서)
축제인류학 / 류정아 / 살림 / 2003 /(도서)
축제의 개념, 정의, 역사와 관광 이벤트의 마케팅 전략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3/08/28/D2378447.html)
네이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