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

 1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
 2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2
 3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3
 4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4
 5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5
 6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6
 7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7
 8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8
 9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9
 10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0
 11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1
 12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2
 13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3
 14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4
 15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5
 16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6
 17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7
 18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8
 19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19
 20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인의 생동성 Elderly Vitality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노인 인구의 비율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13년 현재 노인 인구 비율이 이미 10%를 넘어 2026년에는 20%를 넘는 고령사회라 될 것으로 전망 하고 있으며 노년기의 성공적인 삶은 고령사회를 준비하는 한국 사회에서 도전 과제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Lee & Moon,2012).
노년기는 심리적이고 영적인 요구가 강해지는 시기로 연장된 노년기를 성공적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안녕감이 중요하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 초월이 있으며 (Jang & Kim, 2008) 또한 우리나라는 건강기술의 발전과 보건위생의 개선, 생활수준의 향상과 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인해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 인구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저 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부모와 동거하는 가족이 감소하면서 요양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이 늘고 있다. 노인 요양 시설의 노인들이 식욕저하, 우울, 외로움, 무기력과 눈물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심각한 경우에는 자살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노인들이 보다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자신의 삶에 대처하는 긍정적인 모습으로 성공적인 노화를 추구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외국의 경우 노인에 대한 생동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노인에 대한 생동성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만족과 성취감을 경험하도록 해주는 개인적인 내적 자원으로 대두되는 것이 생동성(Vitality)이며 자신의 삶을 풍성하게 지각하도록 해주는 긍정적인 정서적 경험 또는 에너지로서 생생함, 낙천성, 안녕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Mabbett, 1996)
복지시설 이용노인의 생동성 영향요인(정미라, 2013)에서 노인의 생동성 정도는 3.36점 /5점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각 항목으로 “나는 깨어날 때 새로운 하루에 대해서 흥분된다”(3.32점)
“나는 어떤 일을 할 때 온 힘을 다한다”(3.72점)
“나는 에너지가 많다”(3.10점)
“나는 어떤 일을 시작하고 싶어서 몸이 근질근질 한다”(3.14점)
“사람들은 날 보고 열정이 가득 찬 사람이라고 한다”(3.41점)
“나는 평소에 활기가 차 있으며, 어떤 일을 할 때 열정을 지니고 열심히 매진하는 편이다”(3.45점)으로 나타났다.
-관심 분야
노인의 여가활동, 가족들의 지지, 종교 활동 등이 Vitality를 높이는 영향을 주었는데 이런 하위 개념들이 Vitality를 증가시키는 이유는 무엇인지를 개념분석 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권석만(2008).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김달숙 외 (2012). 이론개발과 적용을 위한 중범위 간호이론
김순이, 이정인(2013). 재가 노인의 자기 초월, 영적 안녕, 죽음 불안.한국 보건 행정 학회, 27(3)
김석일, 이무연, 오현옥(2012).여가 스포츠 참가 노인의 활력이 사회지원과 사회 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체육 학회지,48(1)
배선형(2013). 관상동맥 중재술 환자를 위한 전환 간호 프로그램의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서울
박형숙, 김명수, 정정심, 최남연, 류성미, 고영희, 김영순(2006). 암환자의 예비 슬픔에 대한 개념 분석. 대한 간호학회지, 36(5)
신경림외 (2010). 간호의 이론과 지식 개발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면숙(2009). 간호이론의 이해. 서울: 수문사
이원희(2011). 간호학에서 이론적 사고의 본질
이지순(2005). 간호사의 생동성 개념 구조.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이지순, 오원옥(2007). 간호사의 생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 간호학회지37(5)
오현옥(2011). 레크레이션 프로그램 참여 여성 노인들의 사회 지능, 활력 및 행복의 관계 모형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50(4)
정미라(2013). 복지시설 이용 노인의 생동성 영향요인. 우석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주
한수정, 한진숙, 문영숙(2009).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 요인,성인 간호학회지 21(4)
Kim, S. I., Yi, M. Y. & Oh, H. O.(2012). Effects of vitality in elderly participants of leisure sport on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lligenc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8(1),629-642.
Kwon, M. H.(2013). The model of well-being among the elderly in a Community. Hanyang University, Seoul.
Kwon, S. M.(2008). Positive Psychology: Scientific exploration of happiness. Seoul: Hakjisa.
Mabbett, P.(2002). Vitality: mind-body approaches to wellness. Conference literature , Hawaii.
Pamela Reed’s Theory of Self Transcendence (Presented By Jon Lafleur, Sheila Lucas, Joan Kronlein, & Kiya McElveen)
Reed, P.G. (1991). Toward a nursing theory of self-transcendence: Deductive reformulation using developmental theor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3(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