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

 1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
 2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2
 3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3
 4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4
 5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5
 6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6
 7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7
 8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8
 9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9
 10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0
 11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1
 12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2
 13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3
 14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4
 15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5
 16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6
 17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7
 18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8
 19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19
 20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외관계의 변천과 삼국간의 항쟁- 고구려와 동아시아,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삼국 관계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1 >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 2 > 고구려와 당의 전쟁


< 3 > 나당 연합군과 백제, 고구려의 멸망


< 4 > 삼국 전쟁 후 통일신라의 체제의 정비


< 5 > 중국의‘ 동북공정’
본문내용
< 1 >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1.5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와 고구려의 대외정책
1)5세기
a. 국제질서
439년에 북위가 5호 16국을 통일하였다. 그 결과 북위를 둘러싸고 중국의 남조 송과 북쪽의 유연, 서쪽의 토욕혼, 동쪽의 고구려는 서로 연결을 꾀하여 북위포위 견제하면서 각자 북위와 우호관계 또는 적대관계를 맺게 된다. 적대관계의 중심축은 북위/남조, 북위/유연이었다. 이 삼국 사이에는 역관계의 연동성을 바탕으로 세력균형이 이루어졌고 5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 될 수 있었다.
b. 고구려와 북위(356~535)와의 관계
고구려는 일차적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강대국 북위에 대한 교섭과 견제라는 기본 방향으로 삼국과 등거리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동아시아의 세력균형에 한 축을 이루었다.
ㄱ. 북위와의 관계
430년에 북중국을 제압한 북위는 북연을 압박하기 시작위해 동진하는 것에 대응하여 고구려는 435년에 북위에 사신을 파견하고 장수왕이 ‘독요해제군사 정동장군 영호동리 중랑장 요동군 개국공 고구려왕’ 고구려사의 제문제 - 손영종(2000년 3월 북한 사회 과학원 p237)
이라는 칭호를 받음으로써 양국간의 외교관계를 이루었다. 하지만 우호적인 관계이던 북연이 밀리자 북연을 지원하면서 북위의 동진을 적극적으로 대처하였다. 436년에 북위군이 북연의 수도 화룡성에 진군하자 고구려는 군대를 보내 북위군과 대치하면서 북연왕 풍흥과 다수의 주민은 이끌고 회군하자 북위는 풍홍의 송환을 요구를 거절하여 위기상황에 이르렀으나 유연의 침입을 경계한 북위가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여 군사적 대결을 피할 수 있었다. 또한 고구려는 427년 평양천도 이후 남진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어서 서변의 안정이 시급한 문제였기에 남조 송이나 유연과 연결하여 북위를 견제하면서 직접적으로 북위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도 힘을 기울였다. 466년에 북위의 청혼을 고구려가 거절하고 472년에 고구려의 남진에 위협을 느낀 백제가 북위에 청병을 요청하였으나 거부함으로써 두 나라 사이의 국가 적무역액이 2배이상으로 늘었으나 고구려가 송과 외교관계를 맺고 유연과 합세하여 동북 내몽고 지역에 있던 지두우를 분할점령하려하자 서로 예민해졌다. 하지만 서로 눈앞에 군사적인 대결 상대를 놓아두고 있었기에 분쟁을 확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양국은 서로의 세력권을 인정하면서 빈번한 사신교환과 문물교류를 통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나갔다.
ㄴ. 북위를 견제하기 위한 견제책
ⅰ)남조 국가인 송(420~478)과 통교를 하였다.
ⅱ)유연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다.
ㄷ. 국내외에서 고구려
이러한 대외 정책 속에서 고구려와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간에는 평화로운 관계가 유지되었다. 또한 세력권의 외곽에 거란족과 말갈족의 일부를 거느리고 지두우의 분할을 시도하며 남실위에 철을 공급하면서 내몽고 동북부지역에도 세력을 뻗침으로써 중국세력이나 북방 유목세력의 영향력을 배제한 가운데 고구려는 독자적인 세력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