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 현상 간호연구

 1  관심 현상 간호연구-1
 2  관심 현상 간호연구-2
 3  관심 현상 간호연구-3
 4  관심 현상 간호연구-4
 5  관심 현상 간호연구-5
 6  관심 현상 간호연구-6
 7  관심 현상 간호연구-7
 8  관심 현상 간호연구-8
 9  관심 현상 간호연구-9
 10  관심 현상 간호연구-10
 11  관심 현상 간호연구-11
 12  관심 현상 간호연구-12
 13  관심 현상 간호연구-13
 14  관심 현상 간호연구-14
 15  관심 현상 간호연구-15
 16  관심 현상 간호연구-16
 17  관심 현상 간호연구-17
 18  관심 현상 간호연구-18
 19  관심 현상 간호연구-19
 20  관심 현상 간호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관심 현상 간호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석사논문 30세 이상 미혼여성의 결혼관, 자녀관 및 고위험 임신지식에 관해 조사함
- 만혼과 초산부 연령 증가에 따른 고위험 임신은 증가하지만
30세 이상 미혼여성의 고위험 임신지식은 100점 만점에 평균 55.5점으로 낮은 수준
2.고령임신으로 인한 저체중 미숙아 출산 늘어남
-통계청 자료‘2012년 출생통계’를 보면 전체 출생아 중 저체중아(2.5kg 미만) 구성비는 5.3%로 증가세를 유지하며, 다태아 중 저체중 출생아는 54.4%였다. 출생아의 6.3%가 37주 미만으로 태어나 전년보다 0.3% 증가 하였고, 다태아(쌍태아 이상)의 경우는 37주 미만의 구성비가 53.5%였다. 미숙아 출산(37주미만) 산모 평균연령은 32.19세로 정상아 출산(37~41주) 산모평균연령 31.59세보다 0.6세 많았다(통계청, 2013년 8월).
(저체중아 출산으로 신생아 사망과 신생아 중환자 의료기관 부족도 문제됨)
3.고령산모를 체계적으로 산전관리를 한다면 고위험 임신으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고
더불어 신생아 예후도 좋아질 수 있다는 논문
-고령 임신에서는 기왕의 만성 질환 에 의한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하나, 만성 질환의 대다수가 임신기간 중 성공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고 하였고, 적절한 산전 및 산후 관리를 받는 건강한 고령 산모는 임신 과 관련된 합병증의 예후가 좋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하였다. 이에 고령의 초산모에서 단지 산모의 연령이 고령인 것이 산과적으로 고위험요소는 아니며, 고령 산모의 경우 임신결과의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산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고혈압, 당뇨와 같은 연령의 증가와 연관된 만성 질환의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할 것
4.1985년에 임부의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의 관계 연구 논문이 있음
-산전간호 란 임부가 행하는 자가간호(self care)를 뜻하며, 가정에서 음식,수면,활동,휴식,오락,개인 위생,자세,의사소통, 마음가짐 등의 주의사항을 실천한 정도에 대한 임부자신의 평가를 Likert 5단계 척도롤 측정한 것으로 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유익성, 장애성, 건강에 대한 관심, 참고인의 지지 등 건강신념 변수와 산전간호 이해 간의 상관간계 분석결과, 임신 초기, 중기, 말기에 걸쳐 민감성 이외의 건강신념 변수가 모두 산전간호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심각성, 유익성, 건강에 대한 관심, 참고인의 지지가 높을수록, 장애성이 낮을수록 산전간호 이행도가 높았다. 산전간호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건강신념 변수를 산전간호 이행에 대해 단계적으로 중회귀 분석을 시도한 결과, 임신초기, 중기, 말기에서 모두 참고인의 지지와 유익성이 산전간호 이행의 주요 설명변수로 규명되었으며, 두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임신초기에 34.69%, 임신중기에 38.26%, 임신말기에 51.60%이었다. 따라서 산전간호 이행은 건강신념모형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이미라(1985). 임부의 건강신념과 산전간호 이행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논문, 서울.
제남주(2014). 30세 이상 미혼여성의 결혼관, 자녀관, 고위험 임신 지식. 경상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경남.
김태은, 이순표, 박종민, 황병철, 김석영(2009). 건강한 고령 초산모에서 산모 연령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주산회지, 20(2), 146-152.
김민영, 고효정(2008).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건강신념과 산전관리 이행간의 관계. 계명간호과 학 12(1)., 83-96.
박명희(1993). 임부의 강인성과 산전간호이행과의 관계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3), 339-355.
조주연, 한승의, 송미승, 전미순, 함미영(2003). 기혼 여성들의 임신동기에 관한 연구. 여성건 강간호학회지, 9(3), 245-255.
정혜경, 김경희, 염순교, 송미승, 안옥희, 이종화(2003). 임부의 가족지지와 임신의도 및 산전 자가간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3), 319-326.
이경숙, 김진하, 홍수종, 장형윤, 신의진, 김명진(2013). 태아애착척도(MF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4). 81-91.
김민경(2013). 청소년자녀 부모의 권위주의적 양육태도,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와 휴대폰
중독: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18.
한기백(2014). 아동기 모와의 정서적 유대와 성인 애착의 관계: 자기 존중감과 타인신뢰의 매개효과. 한국발달심리학회지, 27(1), 159-
임은진(2011). 장소에 기반한 자아 정체성 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107-
Aparna Atluru, Kallie Appleton, Sanja Kupesic Plavsic(2012). Maternal fetal bonding: ultrasound imagings role in enhancing this important relationship. Donald School Journal of Ultrasoun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6(4), 408-411.
Winkler J (2000). "[Development of the maternal bond during pregnancy]". Cas. Lek. Cesk. (in Czech) 139 (1): 5-8.
Madeleine O’Higgins, Ian St James Roberts, Vivette Glover, Alyx Taylor (2013).
Mother-child bonding at 1 year; associations with symptoms of postnatal depression and bonding in the first few week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Volume 16(5), 381-389.
Samuel J. Maddox, Ronald J. Prinz (2003). School Bond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ed Variables.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6(1), 31-49.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이은희, 정면숙(2009). 간호이론의 이해. 서울: 수문사.
박형숙, 박인숙, 강인순(2008). 간호학 연구방법론. 서울: 정담미디어.
오가실 외(2008). 간호에서의 이론개발전략. 서울: 정담미디어.
채선미(2001). 저출생체중아 이행간호 프로그램 (Transitional care program) 개발 및 평 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강윤희(2001). Theoretical substruction : Fatigue in cardiac arrhythmia patients
기본간호학회지, 8(3).
William L . Holzemer, Helen L . Dulock(1990). Substruction : Improving the Linkage from Theory to Method.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