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rmensch)의 오역
다윈 진화론 핵심이론‘자연선택’은‘자연도태’로 오역됐다
민주주의 大章典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도 오역된 채 교과서 수록
일본 원폭투하, 베를린장벽 붕괴, 9.11테러는 오역과 관련있다
미국의 베트남 전면전 개입은 오역이 빚은 왜곡정보 때문
후르쇼프 연
1. 니체의 새로운 근대문화
1. 위버멘쉬 übermensch – (능동적) 허무주의로 (수동적) 허무주의를 극복한다.
1) 니체의 근대비판의 핵심
(1) 근대 합리주의적 사유에서 나타나는 이성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바탕한 문화를 개체적인 인간의 (힘에의) 의지의 행위유형으로 전도시킨 점
(2) 기독교적 전
bermensch)이라고 불렀는데, 이 초인이 인류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인종차별주의자였던 그의 여동생 엘리자베스가 다르게 해석하여, 히틀러가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니체는 초인이 되기 위해서 3가지 과정을 거치게 된다고 설명한다. 첫 번째
프리드리히 니체
- 신은 죽었다 -
목 차
1) 예술철학
2) 관점주의
3) 신은 죽었다
4) 초 인
5) 영원휘귀
6) 기독교와 유럽도덕
니체(1844.10.15~1900.8.25)
독일의 철학자. 생(生)철학의 대표자로 실존주의의 선구자, 또 파시즘의 사상적 선구자로 말해지기도 한다. 본 대학을 거쳐 스위스의 바젤 대학 교수직(1869~
니체의 생애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5살 때 아버지가 죽자 어머니, 여동생과 함께 나움부르크로 이사하였다. 포르타 김나지움 시절에는 음악과 그리스·로마 문화에 심취하였고, 1864년 본대학에서 신학과 고전문헌학(古典文獻學)을 배웠으나 리츨 교수를 따라 라이프치히대학으로 옮겼다. 이 시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