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세계적으로 ‘근대성’에 대한 본질적 성찰이 활발하다. 이것은 이제 구미의 전유물이 아니고, 바로 한국땅에 사는 우리들의 과제이기도 하다. 서구 사회를 비롯하여 한국에서 과학기술의 발전, 경제성장, 정치적 민주화, 더욱 철저해지는 다원화와 해방사상 등은 아무런 대가없이 이루어진 것
성찰적 현대성’과 그 실천으로서의 ‘제 3의 길’은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본 프로토콜에서는 기든스의 ‘성찰적 현대성’이론과 ‘제3의 길’의 핵심내용을 요약하여 알아보고, 이를 현 시대와 국내 상황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논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근대성의 위
*근대성의 재조명
근대성(modernity)은 서구에서 17세기 계몽주의 등장 이후 근대사회
발전괴정을 통해 이룩된 정치, 경제, 문화, 이념의 특징을 총칭하는 것
이다. 이 같은 근대성은 서구의 근대역사 전개과정에서 추상화되어 나
은 것이기에 근대역사로서의 보편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공간의
‘성찰적 근대화’에 대한 부정적 전망
-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지난 6월 나는 일본에 있었다. 국제학술대회 참가차 방문한 길이었다. 아침 일정을 시작하기 전 시간이 좀 남길래 TV를 켰다. 일본어는 잘 모르지만 장면만 봐도 대충 이해가 될까 싶어 채널을 이리저리 돌렸다.
1. 서론
21세기가 얼마 남지 않은 현대 사회는 과거의 것이 사멸하고 새로운 것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그람시적 의미에서 전환기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아니 사멸한 듯 보이지만 여전히 우리의 정치적 지향과 선택지를 제약하고 있으며 그 이념의 본래역할을 달성하지 못한 20세기의 이념도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