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적 요소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사상, 역사, 논쟁의 세계로 초대』, 예문서원, 1995, p111
신화의 내용은 오늘날의 안목으로 보면 신기하고, 비합리적이고, 초상식적인 황당무계한 점이 많으나, 그것은 곧 사고방식의 소치에 불가하고 고대 사람들의 심리와
종교들의 신앙특색
첫째, 유․불․도․선 등 각 종교 접신현상과 같은 무속적 신앙형태가 가미되어 민중차원에서 재구성한 민주신앙의 형태이고,
둘째, 낡은 운수 다 지나 새로운 계룡운이 도래한다는 참위론적 운도사상을 토대로 한 현세주의 적인 지상천국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1.프로이트 : 정신분석이론과 도덕성 발달
정신분석학의 핵심 입장
①모든 정신적 사건은 그 전에 일어난 정신적 사건을 원인으로 함 : 인간의 심리현상에 우연히 생겨난 것은 존재하지 않음
②인간의 정신활동은 외부세계의 어떤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 속에 내재되어 있는 행동의 동
천(天)
-의리천 : 보편적 자연법칙이자, 인간에 내재하는 ‘보편적 행위원칙’으로서의 도덕 법칙
∴ 공자의 천은 인간의 보편적 행위원칙의 기준이 되는 도덕의 기준이다.
-덕 : 천이 인간의 내면적 도덕률로 내재화된 것. 덕이란 천으로부터 부여받은 선천적이고 보편적인 도덕성.
∴ 인간이 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