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두리째 변화시키려는 변혁적 동기를 찾을 수 없다.
이러한 무교 전통은 독립적이기보다는 각 종교에 혼합 및 습합함으로써 한국에서 오랫동안 영향력을 끼쳐왔다. 특히 유교, 불교, 도교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여기서는 한국의 ‘보이는 종교’로서 위치가 공고한 불교에 한해 살펴보기로 한다.
감 사 합 니 다.
1. 신도(神道)
신도는 일본 고유의 자연종교이며 독특한 토착신앙
자연에 대한 숭배심이 종교로 발전한 정령신앙, 즉 애니미즘의 일종
초기에 자연물을 신으로 삼았지만 점차 선조를 신으로 섬김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기록되어 있음
신도신화는 고대왕권의 확립기 뿐
1. 일본 종교의 현황
일본 종교 인구는 2003년도에 일본정부문화청이 집계한 종교 인구를 만명단위로 끊어 표시하면 신도계가 1억 678만명, 불교계가 9549만 명, 기독교가 182만 명, 기타(생장의 집, 천리교)가 1065만 명이다. 또 종교 법인은 18만 3000개 이 밖에 어느 종파에도 속하지 않은 단위 종교 법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