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학규(심봉사)
심봉사를 현대적 시각에서 분석
장애를 가진 후 가장으로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원인: 맹인이 된 이후 관직에서 더 이상 일할 수 없게 되면서 돈을 벌어오지 못하게 된다. 또 청렴결백한 인물이라서 모아둔 재산이 없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대책: 장애에 대한
심봉사를 측은히 여겨 청에게 젖을 먹여 준다. 심청은 잔병 없이 성장하여 인물과 효행이 인근에 자자할 정도였으며, 십오 세에 이르러서는 길쌈과 삯바느질로 아버지를 극진히 공양한다. 인물이 뛰어나고 재질이 비법한 청을 장승상 부인은 수양딸로 삼고자 하나 청은 아버지를 생각하고 거절한다. 어
기려 장례를 치러주며, 젖동냥을 다니는 심봉사를 측은히 여겨 청에게 젖을 먹여준다. 심청은 잔병 없이 성장하여 육칠 세가 되자 아버지를 앞에서 인도하기에 이르고, 십일세가 되자 인물과 효행이 인근에 자자할 정도이다. 십오 세에 이르러서는 길쌈과 삯바느질로 아버지를 극진히 공양한다.
심봉사가 원초적(?) 성격을 가진 정말 정말 무능력한 인간이라는 생각도 가지게 되었다. 그저 착하게만 생각되던 심청이가 무모하다하는 생각 역시.
이쯤에서 내 문학적 배경지식을 꺼내본다. "고전소설의 특징 中 - 평면적 인물 유형". 일리 있는 말이다. 그. 러. 나. 한가지 고려해야 할 것은 소설은
심청은 심봉사의 딸이다. 심청이 태어날 때 심청의 엄마 곽 씨는 죽고, 태어난 딸을 심봉사 홀로 구걸하러 다니면서 키워낸다. 그러다가 심청이 평소보다 늦게 귀가한 어느 날, 들어오지 않는 심청을 찾으며 심봉사는 집을 나오지만 구덩이에 빠져 버린다. 그런 심봉사를 한 스님이 구해주었고, 공양미 3